加持向緣篇 삼보의 가지력으로 영단에 자리함
灌浴 Ⅱ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Ⅱ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加持向筵篇 삼보의 가지력으로 영단에 자리함
諸佛子 제불자시여
幸奉聖會 다행히 성현을 뵈옵고
已禮慈尊 이미 자존께 예를 올리셨습니다.
宜(마땅의)生罕(그물, 드물다)遇之心(이와같음은)마땅히 드문 일이라는 생각을 내셔야만 합니다. 遇만날우
可發難遭之想 만나기 어려운 일이라 생각을 내셔야만 합니다.
請離壇所 청하옵건대 이제 이곳(壇所=佛壇)을 떠나시어
當赴冥筵 [별도로 마련된]자리로 옮기십시오
同享(누릴향)珍羞 [가셔서]함께 진수를 흠향하시고
各求妙道 각기 깨달은의 길을 구하십시오.
註
①聖會; 삼보께 함께 자리하신 곳
②罕;드물 한
③冥筵삼보께서 자리하신 곳을 향연이라 함에 대하여 靈駕를 위해 마련된 자리를 이르는 말
④享; 흠향하다 누리다 누릴향
⑤妙道;깨달음의 도 불도
기 인
삼보께 에를 마친 영가 제위는 영가를 위해 준비된 단으로 자리를 옮겨 명복을 발원하는 齋者로 부터 금일의 다행스러움을 慶賀받게 된다.
이때 영가 제위는 제자의 정성으로 마련 된 珍羞를 흠향하고 한편으로는 석존께서 정각후 3.7일 동안 깨달으신 경지를 음미 하셨듯 삼보의 가지력에 의해 깨달아진 불법을 자신의 것으로 하기 위해 점검하게 된다. 가지향연 이란 영가 제위에게 지금이 곧 준비된단으로 옮겨갈 때임을 알리는 의식이다.
구성과 내용
본 의식문은 가지향연편 의 지문에 해당하며 구성면에서 기.서.결의 형태를 보이고있다.
기 인
諸佛子 제불자시여
幸奉聖會 다행히 성현을 뵈옵고
已禮慈尊 이미 자존께 예를 올리셨습니다. 에서는 지금까지 삼보의 가지력으로 다겁토록 만나뵙기어려운 삼보님을 뵈었고 또 예까지 갖출수 있었음을 경하하고 있다.
서 인
泥犁經 -909상-등 도처에서 불법 만나기 어려움을 설하고 계시거니와 몽을 잃은 中有의 상태에서 삼보를 뵐수 있음에는 본인의 의지외에 재자의 정성이나 효성이 수반 되지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오늘의 이 일의 다행스러움과 환희로움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점을 영가 제위에게 다시금 주지시키는 대목이다.
결 인 請離壇所 청하옵건대 이제 이곳(壇所=佛壇)을 떠나시어
當赴冥筵 [별도로 마련된]자리로 옮기십시오
同享(누릴향)珍羞 [가셔서]함께 진수를 흠향하시고
各求妙道 각기 깨달은의 길을 구하십시오.
에서는 정적인 면과 이적인 면이 함께 어우러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同享珍羞 에서는 제자의 정성과 효성을 느낄수 있고 各求妙道에서는 智度論에서 말씀한 이 의미하듯이 삼보의 가지력에 의한 깨달음뿐만이 아니라 영가 제위스스로 불법에 접근해야 함을 강조 하였기 때문이다.
宜(마땅의)生罕(그물, 드물다)遇之心(이와같음은)마땅히 드문 일이라는 생각을 내셔야만 합니다. 遇만날우
可發難遭之想 만나기 어려운 일이라 생각을 내셔야만 합니다.
-에서는
泥犁經
泥犁經 -909상-등 도처에서 불법 만나기 어려움을 설하고 계시거니와 몽을 잃은 中有의 상태에서 삼보를 뵐수 있음에는 본인의 의지외에 재자의 정성이나 효성이 수반 되지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오늘의 이 일의 다행스러움과 환희로움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점을 영가 제위에게 다시금 주지시키는 대목이다.
결 인 請離壇所 청하옵건대 이제 이곳(壇所=佛壇)을 떠나시어
當赴冥筵 [별도로 마련된]자리로 옮기십시오
同享(누릴향)珍羞 [가셔서]함께 진수를 흠향하시고
各求妙道 각기 깨달은의 길을 구하십시오.
에서는 정적인 면과 이적인 면이 함께 어우러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同享珍羞 에서는 제자의 정성과 효성을 느낄수 있고 各求妙道에서는 智度論에서 말씀한 이 의미하듯이 삼보의 가지력에 의한 깨달음뿐만이 아니라 영가 제위스스로 불법에 접근해야 함을 강조 하였기 때문이다.
연구
▶기존의 의식집 어디에도 본 내용을 하나의 편으로 간주한곳은 보이지않는데?
지반문 작법귀감 석문의범 봉원사요집 등 기준 의식집 어디에도 본내용을 篇으로 취급하지 않고 있다. 또 본고에서 취택한 내용은 지반문과 봉원사 요집 에 수록 되어 있는것으로 작법귀감이나 석문의범에는 보이지않는다.
다만 석문의법의 四明日對靈 과 작법귀감 의 對靈正儀에는 본내용에 당하는 위치에 各各大衆等 列位靈駕 旣禮三寶 還得衣珠 放下身心 依位而住 라는 내용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반문 과 봉원사 요집의 내용을 취택한 것은 본 의식의 법답게 이루어지는 의식임을 상정할때 영가제위를 위한 壇이 別處에 따로 준비되어 있음을 짐작할수있고 그렇다면 삼보의 가지력에 靈壇=冥筵까지 옮겨가는 영가 제위의 利運儀式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依位而住 로 끝나는 작법귀감 이나 석문의범 의 내용보다는 지반문 과 봉원사 요집의 내용이 영가 제위의 이운에 적합하다고 판단한데 근거한 것이다.
한편 본 의식을 하나의 편으로 자리 매김하려는 것은 현 시점에서의 의식내용이 본의식직전의 가지예성편 이나 이어지는 수위안좌편의 내용과 확연히 구분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하나의 편으로서의 구성에는 다소의 미흡한점도 있다 앞서 가지예성의 연구에서도 밝혔듯이 관욕에 있어서 한 편의 의식은 제목, 지문, 전언, 게송 혹은 제목 지문 , 게송, 진언의 순을 기본으로하고 있으며 가지는 주로 진언에 의해 이루어짐을 감안할때 가지 향연에 해당하는 진언이 보이지않고 있기때문이다. 아쉽기는하지만 진언은 임의로 만들어 질수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때문에 본고에서는 여기에 만족하기로 한다.
※지반문에는 본 내용 앞에 謹白 孤魂等衆이라는 내용이 더있음
※불기 2543년 己卯칠월현제 봉원사 영산재 보존회에 보존된 이 부분의 의식은 제목인
가지향연 을 제외하면 본고와 그 내용이 같다.
▶본편의 제목을 가지향연 이라는이유는본문가운데 보이는 冥筵을 의미하는것이다.
한편 시련 에서도 확인된 것이지만 聖衆에 있어서도 往來는 삼보의 가지력에 의지해야
했다. 즉 영가 제위가 명연으로 옮겨가는 데도 역시 삼보의 필수적이라는 입장에서 加持
를 그리고 명연을 향해 자리를 옮긴다. 하여 向筵이라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