普禮偈 삼보께 에를 올림에 앞서 삼보를 찬탄하는 게송
灌浴 Ⅱ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Ⅱ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稽首十方調御師 시방에계시오며 중생을 調御(조정하여다스림)하신 위대한 스승!
三乘五敎眞如法 삼승의 지침으로 오교에 갈무려진 위대한 진리
菩薩緣覺聲聞僧 보살승 연각대사 성문승 봉행불법 위대한 불자
一心歸命虔誠禮 머리를 조아리며 한마음 귀명하고 예를 올리나이다.
①普禮 ;일체의 여래를 예경허는 것
②稽首 ;
s vandana. vandi
인도 최상의 경례법. 양무릎을 끓고 얼굴을 땅에 대고 양손으로 상대방 발을쥐고 자신의 얼굴을 갖다 대는 방법 頂禮 接足作禮.
頭面禮足. 五體投地 라고도한다. 歸命을 나타내는 禮法
②調御師s purusadamysaratha 調御丈夫 如來十號의 하나 佛은 대자 대비 대지로서 柔和 하고 懇切하며 적절한 말을 하여 중생을 調伏制御하여 正道에 들게 하므로 이렇게 이름.
③虔誠禮; 삼가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올리는 禮
의식
바라지의 태징에 맞추어 대중이 동음으로 창화한다.
이때 소리는 쓰는 소리 이다.
연구
▶작법귀감 이나 석문의범 어느쪽에고 본 게송에 제목이 없는데?
본 게송의 제목은 작법귀감 이나 석문의범 어느쪽에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가지예성 의 내용 가운데 下有普禮之偈라 하여 본게송 의 제목이 언급되어 있기로 보례게로 제목하였다.
영가제위와 대중이 함께 偈頌으로 삼보를 찬탄함으로 써 가지예성의 내용에 공감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의식
구성과내용
가 인 稽首十方調御師 시방에계시오며 중생을 調御(조정하여다스림)하신 위대한 스승! -에서는 시반세계에 계신 제불께 예를 올리고자 함을 표방함이니 예를 올링다함은 곧 귀의 귀명을 나타냄이고 동시에 몸을보이는 최고의 찬탄인 것이다. 또시련 보례게의 연구에서도 확인했듯이 시방의 부처님께 귀의를 표명함은 본 의식이 대승불교 의 의식임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한가지더 언급할 것은 제불의 많은 功能. 예컨대 여래의십호 가운데 調御師를 소례로 하고 있음에 중생을 調伏制御 하사 正道로 이끄시는 대자대비하신 부처님을 생각하며 절대 귀의하려는 영가 제위의 心情을 엿볼수 있다. 信
승 인
三乘五敎眞如法 삼승의 지침으로 오교에 갈무려진 위대한 진리에서는 중생들이 법보에 귀의하려는 이유를 말하고 있다. 즉 부처님께서 진리를 베푸시는 방법을 對機說法.應病與藥이라하듯 중생의 근기면에서 三乘으로 敎理의 深淺면에서 는 五種으로 분별하시어 중생의 모두를 차별없이 구제하시고 계시기 때문이다. 解
전 인
菩薩緣覺聲聞僧 보살승 연각대사 성문승 봉행불법 위대한 불자 에서는 금일 영가 제의는 물론 참석 대중 모두에게 모법이되시는 聖衆께 예를 올려 찬탄하고 있다. 또 이와같이 하면 三乘이 귀의의 대상이어서만이 아니라 受戒篇 沙彌十戒의 經請諸佛菩薩諸天爲六師에서 敬請十方諸菩薩 詣爲同學伴侶衆 이라 헸듯 영가제위에게 同學伴侶이기도 한것이니 본구에서 禮는 이런점을 확인하는 것도 된다. 바로 이런 점이 본 句 로 하여금 轉句로서 의 위치를 갖게 한다. 行
一心歸命虔誠禮 머리를 조아리며 한마음 귀명하고 예를 올리나이다. 에서는 결구에 쓰여진 一心. 歸命 虔誠등의 단어가 뜻하듯 삼보에 대한 절대 귀의를 표명함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