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수사

普禮三寶

寶禮三寶 삼보께 예를 올림

灌浴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普禮十方常住 法身報身化身諸佛陀 널리 시방에 항상 계옵신 법신 화신 모든 불타님께 예를 올리나이다.

普禮十方常住 經藏律藏論藏諸達摩 널리 시방에 항상 계옵신 경장 율장 논장 모든 불타님께 예를 올리나이다.

普禮十方常住 菩薩緣覺聲聞諸僧伽 널리 시방에 항상 계옵신 보살 연각 성문 모든 불타님께 예를 올리나이다.

개요

본당에 도착한 영가제위와 대중이 삼보께 예를 올리는 의식이다.

구성과 내용

제목과 본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다른 게송의 제목이 실제 의식에서 운운되지 않는 것과는 달리 法主에 의해 唱和 (노래, 부르다)된다. 제목인 보례삼보의 제목인 동시에 일종의 명령어로서 성중으로 하여금 삼보께 예를 올릴 것을 지시하는 의미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예를 올리는 것이 外壓에 의한 것이라는 말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성중 스스로가 본문의 내용애 동의하여 자발적으로 동음으로 唱和 하며 예를 올리는 것이다.

의식

보례삼보진언을 마친후 범주는 다시 요령을 짧게 한 번울리고 보례삼보 라고 선창한다. 바라지는 법주의 선창에 이어 태징을 세 번 울리고 대중은 바라지의 태징을 신호로 하여

보례시발상주 법신 보신 화신 제불타

보례시발상주 경장 율장 논장 제달마

보례시발상주 보살 연각 승문 제승가를 동음으로 小四物을 울리며 각각창화한다. 소리가 끝날 때마다 바라지는 태징을 세 번 울리고 대중은 이를 신호로 그 때마다 반배로 삼보께 예를 올린다.

보례삼보의 다른 내용이 있다는데?

 

봉원사 요집에는 아래와같은 내용이 있는데 제목은 없으나 순서로 보아보례삼보 에 해당한다. 단 본고에서 봉원사 요집 의 내용을 모범하지 않은 것은 내용의 우열을 가려서가 아니라 현 봉원사 영산재 보존회에 보존된

의식형태를 존중해서 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普禮十方一切佛 舍利靈牙率覩波 널리 시방에 항상 계옵신 모든 불타님과 사리 영아 모신불탑에 예를 올리나이다.

普禮十方一切法 五敎三乘妙法藏 널리 시방에 항상 계옵신 모든 달마님!삼승소의 오교 미묘법에 예를 올리나이다.

普禮十方一切僧 菩薩緣覺聲聞衆 널리 시방에 항상 계옵신 모든 승가님!보살 연각 성문 여러분께 예를 올리나이다.

여타의 내용은 시련의 보례삼보 참고


'문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法性偈  (0) 2017.02.10
加持向緣篇  (0) 2017.02.07
보례삼보게  (0) 2017.02.07
보례게  (0) 2017.02.06
가지예성편  (0) 2017.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