灌浴 Ⅱ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Ⅱ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唵 度度哩 九魯九魯(미련할로) 莎訶
印 左手結金剛拳 伸中指無名指小指
인 왼손으로 금강권을 쥔 상태에서 셋째 넷째 다섯째 손가락을 편다.
註
漱(양치질할수)口;양치질 漱;양치질할수
개요; 작양지 진언과 함께 구업을 청정히하는 진언으로 작양지진언 이 칫솔질에 해당한다면 본 진언은 입 안을 헹구어 내는 양치질에 해당한다.
구성과 의식
작양지진언과 동일
▶연구
漱口眞言에때한 전거는?
작양지진언에서와 마찬가지로 진언에 관한 전거라기보다는 수구에 관한 내용이 팔십화엄경 권14 淨行品 에 보인다.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澡漱口齒 양치질 할때에는
當願中生 마땅히 발원하소
向淨法門 청정한 법문향해
究竟解脫 마침내 해탈키를 -팔십화엄경-
▶漱口眞言을 확인 할수 있는 곳은
등에 보이고 있으며 작법귀감 석문의법의 내용도 표기의 차이를 제하면 대동소이하다.
漱口眞言
結手文 ;唵 覩覩哩 矩嚕 矩嚕 莎訶
地磐文 ;唵 覩覩哩 矩嚕 矩嚕 莎訶
仔夔文(자세할자, 조심할기)
作法龜鑑; 唵 覩覩哩 矩嚕 矩嚕 莎訶
釋門儀範; 度度哩 九魯九魯 莎訶
▶身業 과 意業 에 해당하는 진언이 각각 하나씩인데 비해 口業에 해당하는 진언은
漱口眞言과 작양지진언 등 두가지인 이유는
정확한 전거가 없는 것이 실정이다. 다만 十惡의 내용이 身3 口4 意3으로 이 가운데 口業의 비중이 신업과 의업에 비해 큼을 이유로 들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무엇보다도 娑婆世界를 音聲敎體 세계라 하듯이 여타의 세계에 비해 음성의 비중히 그만큼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