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소수서원紹修書院
소수서원 솔 향기 바람소리 타고 흐르는 금계천
통영갓에 도포자락 휘날리며 옥관자에 귀티어린 선비 의 모습
여기에 조선시대의 최고의 학문을 닦든 최초의 대학이 있었든곳.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신재 주세붕 선생이 풍기군수로 부임하여 성리학을 소개한 백운동서원,
이곳 출신의 유학자 안향을 모시는 문성공 묘를 세워 향배해 오다가 1543년 주자의 백록동 서원을 본따 학사를 지어 유생들의 교육을 시작한 곳이다.
이곳은 퇴계 이황 선생이 이곳에 부임하면서 부터 실효성이 발휘 되었는데, 도학을 탐구하고 이를 실현시킬 서원 제도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서원보급과 국가의 지원을 요청하고 명종 임금의 소수서원이라는 편액과 토지 4서5경, 성리대전등 서적과 서원에 필요한 노비등을 하사 받았다.
이때에 백운동서원에서 소수서원으로 바뀌었다.
紹修書院 이란 이미 무너진 유학을 다시닦게 한다는 뜻이다.
이것은 그 시대의 피폐된 학문을 안향과 같은 유명한 선비를 길러내라는 뜻이있는것이다.
이 로인하여 전국의 서원을 짖도록 합법성을 인정 받은 곳이며 조선 후기사회의 유교문회의 구심 적인 역할을 한다.
이곳의 지형을 보면 소백산의 비로봉과 국망봉 사이에서 흘러오는 죽계천이 흘러오고 영귀 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역시 많은 선비들을 배출할수있은 명당으로 영귀 포란형 거북이 알을 품는형이라니 명당이 지요. 서원 주위에는 낙낙장송이 둘러서있고 옛날엔 절터였음을 알려주는 당간지주가 있고 물이 쉬어간다는 숙수사란 이름의 절터다.
숭유억불정책에 의해 절을 없에고 선비들의 학문의 도장으로 변하게 했든 시대상을 보여주며 서원입구 양편에 고목의 은행나무와 시와 학문을 토론하며 풍류를 즐기든 경렴정, 건너편의 성생단 (제단) 서원안으로 강학당에 백운동서원, 안쪽 북면에 명종 임금이쓴 소수서원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뒤편에 매일 새로워라는 일신제(교수 방), 안과 밖이 곧고 바르라는 직방제(서원장 방), 선비들 이 공부하든 학구제와 지락제가 작고 소박하고 간결하게 지어져있다.
서원 안쪽에 담장으로 구획하고 단청이 된 집에 고려말 문신 안보와, 안축,주세붕을 배향하고, 이밖에 장서각, 전사청, 영정각, 사료전시관,교육관이있다.
태백산에서 소백산으로 이어지며 남으로 남으로 이어지는 소백산동쪽 마을과도 떨어져있 어 조용하고 옛선인들의 자취를 ,학문을, 풍류를 짚어보고 사색해볼 공간으로 충분하다.
浮 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