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숭조목종

황순,황진이, 황석두. 황종율. 황중옥.황병학. 황상규, 황병길,황봉운,황봉신, 황덕환,황기환 황석우, 황원후

  첨의 평리공 황순

 고려 문신 1349년 충정왕 원년 기축년에 密直副使가 되고 이듬해에 지밀직사사가 되고  1354년  공민왕 삼년 갑오년 지도첨의사사가 되었다.

 1356년 공민왕 5년 병신년 첨의평지로서 강릉 삭방도 도순문사가 되고  1358년 공민왕 7년 무술년 전라도 도순문사가 되어 崔瑩將軍과 함께 全羅道 吾乂浦에 침입한 왜구 선박 400 척을 격파 하였으며 1362년 공민왕 11년  임인년  聖節使로서 원나라에 다녀왔다.

 문헌: 고려사 고려사절요 한국 인명대사전.

 

여류 시인 황진이 여사

 시인 명기 별명은  진랑  기명은 명월이라 하였다.

 중종 때에 황진사의 庶女로 태어나 어머니에게서 교육을 받았는데 四書三經을 다 읽고 시서 音律에 모두 뛰어났으며 出衆한 용모로 유명하였다.

  15세 경에 한 동네에 살고 있는 총각이 짝사랑을 하다가 相思病으로 죽자 그 사실을 알게 된 여사는 妓界에 ㅌ신 하기로 결심하였다 妓界에 투신한 여사는 당대의 유명한 文人 碩儒들과 어울려서 놀면서 탁월한 詩才와 뛰어난 미모로 그들을  매혹 시키고  경탄케 하였다.

 당시 10년 동안을 수도 정진하여 生佛이라 불리우던 천마산 知足庵의  知足禪師가 여사에게 현혹되어 破戒하였고,  당대의 대학자 徐敬德과 교제 하려 하다가 남녀관계를 떠나 師弟의  의를 맺었다. 이어 당시의 일류 명사들과 交遊 아 깊었으며 더욱이 碧溪水와는 깊은 애정을 나누며 爛熟한 詩作을 통하여 독특한 愛情觀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그이 가장 대표적인 시조 이수

 1.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  둘러 내어

 

2. 

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물이 아니로다 주야에 그러니 옛물이 있을소냐 긴 글도 물과 같아야 가고 아니 오메라.

 

여사는 서경덕, 박연 폭포 와 함께 송도 3절로 불렸다

  작품: 滿月臺 懷古詩.  朴淵瀑布詩 奉別蘇陽谷詩.

  영초월 시.

 문헌: 중경지 燃藜室記述. 초호 당집, 식소 록. 松都기이 황진이와 허난설헌( 현대문학) 한국의 인간상 제오권.

한국 인명대사전

 

 순교자 황석두 선생

 1815년 순조 15년 을해년~ 1866년 고종 3년 병인년

 조선 천주교도 교명은 누가  충청도 연풍 출신이다

 1837년 헌종 3년 정유년 천주교에 입교한 후 천주교회 회장을 역임하고 다레뤼 주교와 함께 교리 서적을 번역하였으며 1866년 고종 3년 병인년 충청남도 내포에서 다레뤼 주교와 함께 체포되어 서울에 압송되었다.  그 후 모진 고문을 받은 뒤 보령에서 3명의 프랑스 신부들과 함께 순교하였다.

 문헌: 일성록, 한국천주교회사. 한국 인명대사전.

 

 국회의원 황종률

  1909년~ 1972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본관은 창원  본종친의 고문, 재력의 아들로서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서울 성동 상업학교를 거쳐  수원 농업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35년 일본  구주 제대 법학부를  졸업하고 귀국하였다가 이듬해에 만주로 건너가서 1945년 8.15 해방이 되자 귀국하여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자 외자청장아 되고, 이어서 충남 지사에 피임 되었다.

 1965년에 재무부 장관이 되었으나 재임중 사직공원 부정 불하 사건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수감 되었으나, 의혹이 풀리자 석방된 후 1966년 한양대학 경제학부 교수로 취임 하였는데 재직 중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67년 경제 담당 무임소장관을 거쳐 1968년에 채신부 장관이 되었다가 다시 재무부 장관에 취임하였으며 1971년 국회의원 선거에 전국구에 입후보 하여 당선되었다.

 1972년 국회의원 임기 중에 서거 하였으나 국회장으로 장례를 하였다.

 

 의병장 황종옥 선생

 의병, 일본의 침략  야욕에 대항하여 구국운동의 선구자로서 전라도와 경상도 등지에서 의병 3000명을 모집하여 그들을 거느리고 지리산을 근거로 하여 누차 무주 용담 업체에서 일본군과 접전하여 많은 일본군을  살륙하였다.

 문헌< 한국 고사 대전

 

 독립운동가 황병학 선생

 1875년 고종 12년 을해년~ 1826년 병인년 전라도 광양 출신 1955년 광무 9년 을사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황상중, 황성순, 고견 등과 함께 산포수 100여 명을 모집하여 백운산을 근거지로 항일투쟁을 벌인 다음 광양군 망덕만에서 일본 선박 10척을 습격하여 침몰시키고, 많은 무기를  노획하였다.  그 후 광양군에 있는 일본 수비대 본부를 역습하여 무기 10점을 노획한 후 만주의 건너가 영고탑, 용정촌, 흑룡강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1920년 상해임시정부의 지령을 받고 귀국하려고 압록강을 건너다가 체포되어 광주 법원에서 3년형을 받고 복역하다가 1924년에  출옥 하였다.

 문헌: 한국독립운동사, 한국 인명대사전.

 

 독립운동가 황상규 선생

 경상남도 밀양 출신으로 16세 때에 고향에 고명학원을 설립하여 민족 사상을 고취시키며 독립운동을 하다가 1918년에 만주 길림에 망명하여 재만 교포들이 독립선언서를 선포할 때 대표자 39인 중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였다.

 1919년 유동열 등과 함께 북로군정서를 조직하여 회계 과장을 지내고 상해임시정부 재무부 위원으로 군자금 모집을 담당하였다.  이에 길림성에서 김원봉 곽재기 등과 함께 항일 무장단체인 의열단을 조직한 후 총독부 여인과 친일분자 암살과 관공서 및 동양척식 회사의 폭발을 계획하고 동지 곽재기, 김재수 등과 함께 폭탄을 가지고 귀국하였다.

 1920년에 고향인 경상도 밀양에 있는 자기 집에 폭탄을 숨겨두고 기회를 엿보던 중 일 경에게 사전에 발각되어 이듬해 경성지방법원에서 7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하였다. 출옥 후 신간회에 가입하여  간부로 있다가 1930년 고문의 여독으로 서거 하니 사회장으로  장의를 엄수 하였다.

 1963년에 대한민국 건국 공로훈장 단장이 수여되었다 

 문헌: 한국독립운동사, 한국 인명대사전,

 

 독립운동가 황병길 선생

 독립투사로서 일찌기 시베리아에 망명하여  이범윤이 조직한 독립군 산포대에  편입되었다가 의사 이재형, 안중근 등과 함께 입국하여 會寧, 釜녕, 종성, 온성등지의 항일 전에 참가하였으며, 그 후 한민회를 조직하고 200명의 독립군을 훈련시켜 만주 간도성 훈춘현을 근거지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으며 1920년 北路軍政署 가입하고 募捐隊長이 되었다가 청산리 싸움후 일본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1963년에 대한민국 건국 공로훈장  단장이 수여되었다.

 문헌: 한국 인명대사전

 

 독립운동가 황 봉 운 선생

 獨立運動가 황해도 평산에서 출생하였다 아우 봉신과함께 의병이 되어 이진용의 휘하에서 싸우다가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만주 관전현에 망명하였다.

 그 후 항일전의 군자금을 모집을 하려고 귀국하여 雲山北鎭 外國人 金鑛에서 金塊 輸送車를 습격 하였으나 실패하고 다시 만주로 건너 가다가 이진용이 체포되어 旅順으로 압송되는 것을 보고 구출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동생 봉신과 함께 체포되어 평양에서 사형 당하였다.

문헌: 한국 독립운동비사,  한국 인명대사전

 

 독립운동가 황봉신선생

 독립운동가 황해도 평산에서 출생하였다 형 황봉운과 함께 의병이 되어 이진용의 휘하에 들어가 일본군과 싸우다가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만주 관전현에 망명하였다.

 그 후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려고 입국하여 平北 雲山 金鑛에서 외국인 금괴 수송차를 습격 하였으나 실패하고 다시 만주로 건너가다가 이 진용이 체포되어 여수 내로 압송되는 것을 보고 그를 구출하려 하다가 실패하고, 형 봉운과 함께 체포 되어 평양에서 사형 당하였다.

 문헌: 한국 독립운동 비사,  한국 인명대사전.

 

 독립운동가 황덕환 선생

 독립운동가 일명 건  全羅南道  靈光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에 임시정부의 군자금을 모집 하다가 체포되어 대구 법원에서 5년형을  선고받고  大邱刑務所에서 3년간 복역을 하고 석방되어 1923년에 만주로 망명하여 新民府에 가입한 후 別動隊長이 되어 일본군과  抗爭 하였다 .

1924년에 신민부 대원을 인솔하고 친일파인 海林朝鮮民會長을 교살 하였으며 1926년 만주 하얼빈에서 무기를 구입하여 본부로 밀행한 후 체포되어 여순고등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옥중에서 일본인 간수를 타살하고 1929년에 사형 당하였다. 1963년에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이 수여되었다.

 문헌: 조선 독립 운동 기사 한국 인명대사전.

 

 독립운동가 황기환 선생

 평안남도 순천 출신으로 제 1차 세계대전때에 지원병으로 군에 입대 하였다.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특파된 金奎植의 書記長으로 프랑스어로 된 팜플렛을 발행하여 전 세계의 한국 실정을 호소하였다. 이듬해에 臨時政府 巴里駐在 宣傳團 宣傳局長을 지내고 제 1차 세계대전 후 일본이 우리나라 교포 600명을 러시아로부터 강제 귀국시키려 하자 그 반대 운동을 벌여 교포 300명을 유럽에  영주하게 하는데 성공하였다.

 1921년 英日 同盟과 한국이라는 팜플렛을 영국 런던에서 발행하였고 불란서 파리에서 韓國親友會를 조직하으며,  臨時政府 외교부 런던 주제 外交委員이 되었다.

그 후 미국에 있는 임시정부 구미위원부에서 활약하다가 1923년 미국 뉴욕에서 심장병으로 서거하였다.

문헌: 한국 민족 운동 년감   무장 독립 운동 기사 한국 인명대사전.

 

 시인 황석우 선생

 1895년 고종 32년 을미년~ 1959년 기해년  시인  호는 상아탑 일본 와세다 대학 정경과를 졸업 하였다.

 1920년  김억, 남궁벽, 염상섭, 우상순, 등과 함께 폐허의 동인이 되었으며 특히 상징주의의 시 운동의 기수로서 이름을 떨쳤으며 1921년 박영희, 변영로, 노자영, 박종화 등을 동인으로 하여 한국 최초의 시 전문지 장미촌을 참관하고 1929년 역시 시 전문지 조선 시단을 창간하여 주제하는 단편 중외일보 와 조선일보의 기자를 지냈다.

 그 후 시단에서 은퇴하고 만년에는 국민대학교  교무처장을 역임하였다.

문헌: 국문학 전사 한국 인명대사전

 저서: 시집 자연 송.

 

독립운동가 황원후 선생

 1897년 광무원년 정유년~ 1920년 경신년  독립 운동가 평안북도 용천 출신

 1915년 만주에 건너가 한족회에 가입하고 신성학교 교장을 지냈으며 이듬해에 강남구청장으로 군자금  조달에 힘썼으며 1919년에 3일 운동 때에는 강남지구 시위운동을 지도하였다.  義勇團을 조직하여 단장이 되었는데 1920년에 일본군의 교포 대학살 때에 체포되어 총살당했다.

 문헌: 한국독립운동사 한국 인명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