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품 죽은 이와 산사람을 함께 이익 되게 함
그때에 지장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염부제의 중생을 살펴보니 몸을 움직이고 생각하는 것이 죄 아님이 없나이다.
혹 훌륭한 이를 만나드라도 대개가 처음 마음먹은 대로 하지 못합니다.
만약 악한 인연을 만나면 생각생각에 나쁜 것을 더하기만합니다.
이러 무리들은 마치 무거운 돌을 지고 진흙 길을 걷는 것과 같아서 갈수록 지치고 무거워져 발은 더 깊숙히 죄의 진 흑 탕에 빠져들어 갈 것입니다.
다행히 선지식을 만나게 되면 그 짐을 덜어서 져다 주기도 합니다.
이는 선지식에게 큰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또 서로 붙들어 도와서 다리를 튼튼하게 해주며 평지에 이르게 되면 나쁜 길을 살펴보아 다시는 지나가지 않토록 하여 줍니다.
세존이시여!
악을 익힌 중생은 하찮은 것에서 문득 한량없는 죄를 저지르고 맙니다.
이런 악습이 있는 중생들이 임종을 할 때는 그 남녀 권속들이 그를 위하여 복을 닦아 앞길을 도와주되 혹은 깃발을 달고 등불을 밝히며 혹은 존중한경을 읽어주고 혹은 불상과 성상에 공양하며 이와 같이 부처님과 보살, 벽지불을 염하되 한 분의 명호를 한 번 부르드라도 임종하는 사람의 귀에 들리게 하고 혹은 본식에 들게 하면 그런 중생들이 지은 악업으로서는 반드시 나쁜 곳에 떨어질 것이로되 그 권속들이 임종하는 사람을 위해 성스로운 인을 닦았으므로 그러한 모든 죄가 다소 멸됩니다 만약 그가 죽은 뒤 칠칠일 안에 다시 여러 가지 좋은 공덕을 지어주면 능히 그 중생으로 하여금 영원히 나쁜 곳을 떠나게 하고 인간이나 천상에 태어나 수승한 낙을 받게 하며 현제의 권속들도 이익이 한량 없사옵니다.
이런 까닭으로 제가 이제 부처님을 모시고 하늘 용 팔부와 인, 비인 등에 대하여 염부제 중생들이 임종하는 날 삼가 살생하지 말고 악연을 짖지 말며 귀신이나 도깨비들에게 제사 지내거나 절하여 구하지 말도록 권하여 주시기 바라옵니다.
왜냐하면 저 산목숨을 죽이거나 귀신에게 제사 지내는 것으로 털끝만큼도 망인을 이롭게 하는 힘이 없을뿐더러 죄연만 맺어서 더욱 깊고 무겁게 하기 때문입니다.
가사, 내세나 현제 생에 성스러운 연분을 얻게 되어 인간이나 천상에 태어나게 되었더라도 임종할 때 그 친척 들이 악을 지으면 그 원인으로 이 죽는 사람에게 몹쓸 누가 되어서 좋은 곳에 태어남이 적어지거늘 더구나 임종하는 사람이 생전에 일찌기 자그마한 선근도 없었더면 본래 지은 업을 따라 스스로 악도를 받아 갈 것인데 어찌 차마 권속들이 다시 그의 업을 더하게 하오리까.
비유하자면 어떤 사람이 먼곳에서 오는데 굶은지가 사흘이 되고 짊어진 물건은 백 근이 넘는데 우연히 이웃사람을 만나 또 작은 물건이라도 덧붙인다면 이래서 더욱 지쳐버리는 것 과도 같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보아하니 염부제 중생이 오직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 가운데 착한 일을 한 터럭. 한 물방울 한 모래알 한 티끌만큼 하였드라도 이로 인한 이익은 모두다 자기가 얻게 되옵니다.
이 말을 할 때 회중에 한 장자가 있었으니 이름을 대변이라 하였다.
이장자는 오래전에 무생을 증득하고 시방중생을 교화하느라고 장자의 몸을 나투었는데 합장하고 공경스럽게 지장보살께 여쭈었다.
지장보살이시여 이 남염부제의 중생이 명을 마친 뒤에 그의 권속들이 공덕을 닦거나 재를 베풀어 여러가지 좋은 인연을 맺어주면 죽은 사람이 큰 이익을 얻어 해탈케되나이까?
자장보살이 대답하였다.
정자여!
내가 이제 미래와 현제의 모든 중생을 위하여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서 그것을 좀 말 하리다.
장자여 미래현재의 모든 중생들이 임종 할때 한 부처님의 명호나 한벽지불의 명호만 들어도 죄가 있고 없고를 묻지 아니하고 모두 해탈케 됩니다.
만약에 어떤 남자나 여인이 살아있을 적에 착한일을 닦지않고 여러가지 죄만 많이 지었드라도 명을마친 뒤에 대소 권속들이 그를 위해 온갖 거룩한 일을 닦아 받되게 하여 주면 그 공덕의 7분의 1일은 망인이 얻고 나머지 공덕은 산사람이 이익이 됩니다.
이러하므로 미래와 현재의 선남 선녀들은 이말을 굳게 듣고 스스로 닦아야 그 공덕의 전부를 얻게 됩니다.
죽음의 귀신이 기약없이 닥쳐오면 어둠속을 헤매는 혼신이 자신의 죄와 복을 알지 못하고 사십구일 동안을 바보처럼 귀머거리처럼 되었다가 중생의 죄업을 심판하는 곳에서 그의 업과를 변론하고 결정한 뒤에야 그의 업대로 다시 태어나게 됩니다.
앞길을 예측하게 그사이에도 근심과 고통이 천만 가지되는 것인데 하물며 저 악도에 떨어졌을 때의 고통은 어떠하오라까.
이 명을 마친 사람이 아직 새로운 생을 받지 못하는 사십구일 동안에는 생각생각에 혈육 권속들이 그를 위해 복을 지어 고통에서 구원하여 주기를 바라다가 사시구일이 지나면 마침내 업을 따라 과보를 받게 됩니다.
만약 그가 죄인이라면 천년만년 지나도 해탈할 날이 없을 것이요 만약 무간죄를 지어서 대지옥에 떨어진다면 천겁만겁토록 길이 온갖 고통을 받게 됩니다
장자여 또 이러한 죄업 중생들이 명을 마친 뒤에 혈육 권속들이 망자를 위해 재를 베풀어 가는 길을 도와주되 아직 재식을 마치기전이나 재를 마련할 적에 쌀뜨물이나 채소 찌꺼기 등을 함부로 땅에 버리지 말고 모든 음식을 부처님과 스님께 올리기 전에 먼저 먹지 말아야 합니다.
만약에 이를 어겨 먼저 먹거나 정근치 않으면 이 망자는 결국에 복력을 얻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나 만약 정성스럽게 깨끗하게 부처님과 스님께 받들어 올리면 이 망자가 그 공덕의 7분의1을 얻게 됩니다.
장자여 이러하므로 염부제의 중생이 능히 그 부모나 권속을 위하여 목숨이 다한 뒤에 재를 풀어 공양하되 지극한 마음으로 정성껏 하면 죽은 사람도 산사람도 다 함께 이익을 얻게 됩니다.
이 말씀을 할때 도리천궁에 있던 천만억 나유타의 염부제 귀신들이 모두 다 한량없는 보리심을 발하였고 대변장자는 가르침을 받들고 기뻐하면서 절을 하고 물러갔다.
'문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장보살 본원경 제9품 (0) | 2023.04.10 |
---|---|
지장보살 본원경 제8품 (0) | 2023.04.10 |
지장보살본원경 제5품 (0) | 2023.04.07 |
지장보살 본원경 제6품 (0) | 2023.04.07 |
지장보살 본원경 제4품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