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숭조목종

황간. 황욱. 황장. 황인경. 황인점. 황운조. 황운조, 황 인 영.

 사간원 대사관    운 오 재 공  황간

 1713년 숙종 39년 계사년~ 정조 삼년 기해년 조선 문신 자는 직경 호는  운 오 재  본관 창원  의원군  거정의 후손 이요 돈녕부 도정  운하의 아들이다.

 1744년 영조 20년 갑자기네 광릉  창봉이 대구 1759년 영조 53년 김현의 식년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은교가 되고 1762년 영조 38년 임원의 세자시강원 도둑이 되고 1764년 영조 40년 갑신년의 사재감 정으로 전염 하였다가 이해 7월 모친상을 당하여 사임하였다.

 1766년 영조 42년   병술년 9월 예문관 직제학 205 1768년 영조 44년 무자년 내 선물은 판교가 되고 1771년 영조 47년 신묘년에홍문관 직제학 으로 전임 되었으나 이해 10월 부친상을 당하여 사임하였다가 1774년 영조 50년 갑오년에 춘추관  수찬관이 되고 이듬해 승정원 좌승지를 거쳐 사과는 대사관에 전임하였다.

 문헌 창원 황씨 족보


 예조참판 공 황욱

 1715년 숙종 41년 을미년~ 서거 연도 미상 조선 문신 장흥군 욱 본관은 창원 의원 꾼 거정의 후손이 욕 경하의 아들이다.

 1744년 영조 20년 갑자년에 진사가 되고 1751년 영조 27년 신년에 정시문과 경가루 급제하여 예문관 본교가 되었는데 이듬해 8월에 부친상을 당하여 관직을 사임하는 얻다가 1755년 영조  31년 3년에 사헌부감찰 205 1757년 영조 33년 정축년에 사과는 정언이 대구 1758년 영조 34년 무인년에   풍저창  별 좌가되고  1760년 영조 36년  경진년에 의금부 도사가 되고 1762년 영조 38년 임오년에 형조 정랑이되고  1764년 영조 40년 갑신년에  양산 군수가 되고  1766년 영조 42년 병 술년에  안악 군수가 되고  1768년 영조 44년 무자년에 군자감 부정이 되고  믿음의 성문은 참 교가 계곡 1772년 영조 48년 임진년에 이조참의가 되고 1774년 영조 50년 갑오년에 예조참판이 되었다가 1778년 정조 2년 무술년에 사임하였다.

 문헌 창원 황씨 족보


  사헌부의 대사헌 공  황장


 1725년 영조 원년 을사년~ 1799년 정조 23년 기미년

 조선 문신 자는 직제 본관은 창원 의원군 거정의 후손 이요  용하의 아들이다   1765년 영조 41년 서류 년의 식년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경연 설경이 되고 1767년 영조 43년 정해년의 승정원 주서 가지고 1769년 영조 45년 을축년에 소격서  별제가 되었다.

 1770년 영조 46년 경민 연애 부친상을 당하여 사임하였다가 1773년 영조 49년  개성부 도사가 되고  1776년 영조 52년 병신년 예 홍문관 교리가 되고 1778년 정조 2년 무술년 양평군 수가 되고 1780년 정조 4년 경자년 예 영천군 수가 되고 그 이듬해에 거창 도호부사가 되고 1738년 정조 7년 계묘년에 인천 도호부사가 되고 1785년 정조 9년 을사년에 사헌부 집의가 되고 1788년 정조 12년  무신년에 형조참의 가야 되고 1790년 정조 14년 경술년에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


 문헌 창원 황씨 족보.



 중추부 점지사공  황인경


 1725년 영조 원년 을사년~  1788년 정조 12년 무신년  조선 무신 자는 명보 본관은 창문 의원군 거 정의선 이요 동지중추부사 계의 아들이다

 1747년 영조 23년 정묘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오 위 부사정의 되고  1750년 영조 26년  경오년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부사정이 되고 1750년 영조 26년 병원에 훈련은 참 군이 되고 이듬해에 충 자위 사정이 되고 1753년 영조 29년 계유년 충청도 병마절제사도위 가 되고  1755년 영조 31년 전에 경기도 병마절제사 도위를 거쳐 의홍위 사과가 되고  1758년 영조 34년 무인년에  세자 익위사 좌사어 가되고 1761년 영조 37년 신사년에 전라도 병마 첨절제사 되고 1763년 영조 39년 개미년의 훈련원 참 정이 되고 1766년 영조 42년 무술 연애 용양위 호군이 되고 1769년 영조 45년 기축년에 전라도 수군 첨 절제사가 되고  1771년 영조 47년 신묘년에 훈련웡 부정이 되고  1773년 영조 49년 계사년에 흉부 위 상호군이 되고  1777년 정조 원년 정유년에 절충장군  중추부   첨지사가 되었다.

 문헌 창원 황씨 족보



  창성위 공  황인점

 출생년도 미상~ 1802년 순조 인연 임술년 조선문신 본관 창원 사헌부 대사헌 재의 아들이요  이조 판서 인금의 아우이다.

 1753년 인조 27년  신미년 영조의 딸 화해 공주와 결혼하여 창승위가 되고  1776년 정조 원년 병신년에 진화겸 사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781년 정조 5년 신축년 동지겸 사은사 또 동지사로 각각 청나라에 다녀왔다.

1783년 정조 7년 계묘년 동지 겸사 은사가 되고 1785년 정조 9년 을사년 경동 지사 되고 1790년 정조 14년 경술년 성질지나 산사가 되었으며 1793년 정조 17년 계축년 동지겸  사은사로 각각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1년 순조 원년 신유년 천주교 도를 학살한 유 신박해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에 앞서 1783년 정조 7년 계묘년 공이 청나라에서 사신으로 갔을 때 당시에 서장관 이동욱의 아들  성훈이 북경에 따라가 천주실의 등 천주교에 관한 서적을 구입해온 사실이 탄로 되어 한때   삭직당 하였다가 복직 되었다

 문헌 영조 정조 순조실록 벽위편 한국 인명대사전 창원황씨 족보 


도정 도 천공  황운조

 1730년 영조 6년 경술년~  서거 연도 미상

 조선 학자 서예가 자는 사용 푸른 도천, 오수 본관 창문 충렬공  일호 후손이다.

 선보러 벼슬이 도정에 이르렀고 글씨를 잘 써서 1797년 정조 21년 정사년에 광명으로 통감강목의 강자를  써서 임금에게 밭이요 가자가 되었다

 공무원 표현이 출중하여 고향의 정문이 세워졌다 

작품 글씨=  쌍봉사 병근 비( 능주)

 문헌 창원 황씨 족보



 전라도 병마절도사 공  황 인 영


 1733년 영조 9년 계축년~ 1755년 정조 23년 개미년 조선 무신 자는 경명 본관 창원 의원군  거정의 후손 이요,  교화 군수 똥을 아들로서 오이도 청부 부총관  최채에  입양하였다.

 1761년 영조 37년 신사년에 무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충무위 부사 정이 되고  1763년 영조 39년 개미년에 충무위 사정이 되고 1766년년 영조 42년  병술년 충무위 부사과 가 되고  1769년 영조 45년 기축년에 충자 위 사과가 되고 1772년 영조 48년 임진년 판관이 되고 1774년 영조 50년 갑오년 광주 판권이 되고 1776년 영조 52년 갑신년 괴산 군수가 되고 1778년 정조 2년 무술년에 영천 군수가 되었다.

 1779년 정조 삼년 기해년  부친상을 당하여 관직을 사임하는 얻다가 1782년 정조 6년  임인년에 대흥 군수가 되고 1784년 정조 8년 갑진년의 훈련원 정리되고 1787년 정조 11년  정미년 강원도 수군절도사가 되고

 1789년 정조 13년 을유년에 전라도 병마절제사가 되고  1790년 정조 14년 경술년 전라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문헌  창원 황씨 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