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수사

우뢰와 같은 침묵

문자나 말한마디 없는 이것이야말로

절대 평등의 드는길


유마힐은 부실(구도자)들에게 말헸다.

"보살은 차별을 떠난 절대 평등의 경지(不二法門)에 어떻게 해야 들어갑니까? 생각한대로 말씀해 주십시오."

생과 멸은 두개의 대립된 개념입니다. 그러나 모든 존재는 본래 생하는것이 아니므로 멸하는 일도 없습니다. 이 생함이 없는것을 깨닫는 것이 절대 평등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德守보살이 말했다.

죄악과 복덕은 서로 대립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죄악의 본성이 복덕과 다르지 않음을 깨달아 알고 금강석같은  지혜로써 이러한 사실을 분명히 깨달으며 거기에 구속을 받거나 해방되는 일이 없다면 이것이 절대평등의 경지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善意보살이 말했다.

생사와 열반은 서로 대립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생상의 본성을 이해 하면 생사는 이미 없는것입니다. 거기에는 결박되는 일도 없으며 그로부터 벗어날필요도 없고 생과 멸도 없습니다. 이와같이 아느대로 절대 평등의 경지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雷天보살이 말했다.

지혜와 無明은 서로 대립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무명은 곧 지혜입니다. 그렇다고 이지혜에 집착해서도 안됩니다. 모든 무명을 떠나 대립되는 것이 없으면 이것이 절대 평등의 경지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보살들이 저마다 말을하고나자, 유마힐은 문수보살에게 물었다.

문수보살은 이렇게 답했다.

내 생각으로는 모든것에 대해서 말도 없고 말할것도 없고 거릴것도 식별할것도 없으며 일체의 질문과 대답을 떠난 것 이것이 절대 평등의 경지에 드는것이다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문수보살이 유마힐에게 물었다.

우리들은 각기 생각한 바를 말했습니다. 이제는 당신의 차례입니다. 어떻게 해야 보살은 절대 평등의 경지에 들어 갑니까?

이때 유마힐은 입을 다문 채 아무 말이 없었다. 이것을 본 문수 보살은 감탄하여 말했다.

훌륭함니다. 참으로 훌륭합니다. 문자나 말 한마디 없는 이것이야말로 참으로 절대 평등의 경지에 드는 것입니다.  <維摩經>


*문수는 그 경지를 말할 것도 없다고 말로서 설명했는데 유마힐은 입다문 채 그대로 드러내 보인것이다. 그침묵은 절대 평등 의 경지를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경지에 들어간 모습 자체다. 언어나 동작에 의한 일체의 매개물을 제거 생명자체가 그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그러한 침묵이야 말로 망리 따를수없는 우뢰과같은 침묵이다. 살아있는 사상은 살아있는 율동을 갖는다. 백마디의 설명을 덮어버리는 강열한 율동을 갖는다.

大般若品에 다음과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한사람인 수부티(須菩提) 는 부처님이 말한 般若(지혜)의 공한 이치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었으므로 解空제일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이수부티가 어느날 나무아래 단정히 앉아 좌선, 자신도 천지도 텅텅 비운 일체공의 선정 삼매 에 든다. 이때 천신들이 꽃비를 내리면서 주부티를 찬탄한다. 수부티는 의아해서 묻는다.

이처럼 공중에서 꽃비를 내리면서 저를 찬탄하는 분은 누구 신지요?

우리는 인드라(帝釋天) 입니다.

어쩨서 이처럼 찬탄하시나요.

우리는 존자께서 반야바라밀다(지혜의완성)을 잘 설하기 때문에 찬탄하는것입니다.

"나는 다만 조용히 좌선하고 있을뿐 반야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말한적이 없는데요.

존자께서는 설한바가 없고    우리는 들은 바가 없습니다. 無說無問즉 설한바 없이 듣는 이것이야말로 진짜 반야가 아니껬습니까?


 훨훨 날아가는 외기러기인가

찬 그림자 가을 하늘에 어리는데

날 저문 산비 지팡이를 재촉하고

먼 강바람에 삿갓이 기운다.

       휴정<願禪子를 보내며>

  

'문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 갈고 뿌린 다음에 먹소  (0) 2017.05.02
9. 출가 수행  (0) 2017.04.28
남에게 충고하려면  (0) 2017.04.26
말과 침묵  (0) 2017.04.25
머리카락이 희다 해서 장로인가  (0) 2017.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