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수사

出浴參聖篇

出浴參聖篇 목욕을 마치고 삼보께 예를 깆추기 위해 욕실을 떠남


灌浴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諸佛子 :제불자시여

旣周服飾 이미 옷매무새는 원만히 마치셨으니

可詣壇場 단장으로 나가실 수 있습니다.


禮三寶之慈尊 나가시어 삼보이신 자존께 예하시고

聽一乘之妙法 일승인 묘법을 들으소서


請離香浴 청하옵건대 향욕실을 떠나시어

當赴淨壇 곧 정단으로 나가셔야 하오니

合掌專心 두손을 모으시고 마음을 가다듬으샤

徐步前進 서서히 걸어 앞으로 나아가십시오.


 


  1. 參聖 ; 성현을 찾아뵘

    참고; 참사聞法;스승이 계신곳에 가서 법을 듣는 법

  2. 周;두루 주 끝낼 주 / 온전히 다하다.

  3. 復飾; ①의복과 장신구 ②服色;신분.직업에 맞추어입는 옷의 꾸밈새 의 꾸밈

  4. 壇場;曼茶羅의 역 修法에 쓰이는 단을 修法壇이라하는데, 이단에는 불 보살을 안치하고 공양물이나 공양구 등을 진설한다.

①설법하는곳 ②제사를 지내기 위해 땅을 높게 돋운곳 ③大將을 맞기위해 땅을 높게 돋운곳

5.慈尊; 대비세존 이란 뜻으로 佛을 말함 여기서는 삼보를 모두 가리킴

6.一乘妙法 ;우주의 통일적 진리 법화경에 있어서 空인 진리의 적극적 표현.

7.當;곧......하려하다. = 將

8.淨壇 : 불법이 베풀어지는 곳

9.專心 : 다른 생각을 섞지 않고 마음을 한 가지 일에만 쏟음


 개요

지금까지 삼업을 청정히 하였고 또 해탈복으로 갈아 입은 영가 제위로 하여금 삼보님을 親見하고 진리의 말씀을 듣게 하기 위해 삼보님 계신 곳으로 안내하는의식


구성과 내용

본 의식문은 出浴叅聖篇 의 지문에 해당하며 구성면에서는 기 서 결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기 인

諸佛子 :제불자시여

旣周服飾 이미 옷매무새는 원만히 마치셨으니

可詣壇場 단장으로 나가실 수 있습니다.-에서는 지금까지의 의식이 원만히 성취되었음을 전제로 삼보님을 친견할수있게 되었음을 영가제위에게 알리고 있다.

서 인

禮三寶之慈尊 나가시어 삼보이신 자존께 예하시고

聽一乘之妙法 일승인 묘법을 들으소서-에서는 삼보님을 뵐 때의 예법과 삼보님을 친견하는 목적을 영가 제위에게 주지시키고 있다.

결 인 

請離香浴 청하옵건대 향욕실을 떠나시어

當赴淨壇 곧 정단으로 나가셔야 하오니

合掌專心 두손을 모으시고 마음을 가다듬으샤

徐步前進 서서히 걸어 앞으로 나아가십시오.-에서는 앞의 기와 서의 내용이 豫令에 해당하는 것이였다면 결의 내용은 動令에 해당하는 것으로 영가제위에게 삼보님 곳으로 나아갈 것을 알리고 있다. 또 徐步라는 단어에서 臨終時 使者에 의해

罪人으로 취급받던 때와는 달리 理的이기는 하지만 道를 얻은 주인공으로 禮遇되고 있음을 알수있다.



법주는 인예향욕편 의 인예향욕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요령을 한 번 흔들어 놓고 함장 한 뒤 제목인 출욕참성을 위시하여 본문의 내용을 高下字에 준하여 編偈聲으로

봉행한다.

연구

▶서 인 禮三寶之慈尊 廳一乘之妙法에서 일승지 묘법이 특별히 가리키는  것이 있는가?

이 부분에서 말하여지는 妙法은 法華經을 가리키는 것이라 하겠다. 근거로 제시할수있는것이 작법귀감10-590의 擧揚式의 내용 이다.

거량식의 내용은 還會得此一卷經麽 如未會得 爲汝宣揚 一乘圓敎妙法蓮華經 云云으로 밑줄친 부분이 그것이다.

여기서 확인 할수 있는것이 의식의 역사성이다. 즉 고려시대 중엽 불교계를 風靡한것은 천태종 이었으며 이러한 흔적은 현제 진행되고 있는 의식에 散見되고 있다.

작법귀감 의 거량식에서 一乘圓敎妙法蓮華經이 석문의법 하213의 거량에는 大乘經典으로 대체되어 있음이 좋은 예이다.이러한현상이 곧 의식이 지니는 역사성이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와 석존의 일대시교 가운데 어떤경전이 최고의 자리에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였고 더구나 불교의 宗團의 수가 100여개에 근접하고 있음이 작금의 실정인바 일종 일파의 소의경전이나 그사상을 

지칭한다면 자연 무리가 따르게 된다.

결론적으로 석문의범 은 이와같은 시대성이 반영되어 편찬된 것이기에 앞서 지적한 거량 의 내용이 大乘經典으로 바뀌었지만 적어도 작법귀감 이 편찬될 때까지만 해도 法華經 의 위치였던 것이다.    


 



'문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法身偈  (0) 2017.01.30
指壇眞言  (0) 2017.01.29
整衣眞言정의진언  (0) 2017.01.28
着衣眞言  (0) 2017.01.28
授衣眞言   (0) 2017.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