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도일이 전법원에서 날마다 좌선허고 있을 때 였다.
남악 회양이 그가 法器인줄 알고 하루는 가서 묻기를 [대덕 ! 좌선해서 무엇하려는가?]
도일:부처되려합니다.
남악이 벽돌을 한장 가지고 그의 암자 앞에가서 돌에다 갈고 있었다.
도일: 스님 무엇하려 하십니까?
남악: 갈아서 거울 만들려고 하네
도일:벽돌을 갈아서 어떻게 거울을 만들 수 있겠습니까?
남악:벽돌을 갈아서 거울을 만들 수 없다면, 좌선하여서 어떻게 부처가 될 수 있겠는가?
도일:어떻게 하여야 겠습니까?
남악:사람이 수레를 모는 것과 같아서 수레가 가지 않으면 수레를 때려야 하겠는가?
소를 때려야 하겠는가?
이 말에 도일은 대답이 없었다.
남악이 다시 말하기를 그대는 앉아서 선을 배우는 것인가?
앉아서 부처를 배우는 것인가?
만일 앉아서 선을 배운다면 선은 앉고 누움에 있는 것이 아니요
만일 앉아서 부처를 배운다면 부처는 일정한 모양이 없으니,
무주의 법에는 취하거나 버릴 것이 없나니라.
그대가 만일 앉아서 부처를 이룬다면 이는 부처를 죽이는 것이며 만일 앉는 모양에 집착하면 그 이치를 달성하지 못하리라
도일은 醍醐를 먹은듯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