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Ⅲ加持化衣篇

灌浴 Ⅱ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Ⅱ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諸佛子           제불자시여

灌浴旣周        관욕이 이미 원만히 끝나고

身心俱淨        몸과마음이 모두 청정케 되었습니다.

今以如來        이제 곧 여래의

無上秘密之言  위없는 비밀교의 말씀으로

加持冥衣        명의를 가지 하옵거니와

§영가제위를 관욕실에 모시고 紙衣를 燒하는 모습

본의식에 의해 영가는 비로서  해탈복을 입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청정심의 회복이라 하겠다.

願此一衣 원하옴은 이 한벌의 옷이

爲多衣    많은 옷이되고

以多衣[다시]이 많은 옷이

爲無盡之衣    다함 없는 옷이되어

令(하여금령)稱身形  각자의 몸에 맞아

不長不短   길지도 짧지도 않고

不窄(좁을착)不寬(너거러울관) 좁거나 헐겁지도 않으며

勝前所服之衣 이제껏 입어본 어떤 옷보다 뛰어나

變成解脫之服  해탈의 옷이 되는것입니다.

故吾彿如來  때문에 우리 부처님께서 베푸신 많은 다라니 가운데는

有化衣財陀羅尼 의재를 변하게 하는 다라니가 있사오니

謹當宣念  삼가 마땅히 힘써 이다라니를 염하십시오.


加持;불 보살께서 불가사의한 힘을 가지고 돌보아 주시는 신변가지

①加持;불 보살께서 불가사의한 힘을 가지고 돌보아 주시는 신변가지

②化衣;衣財를 변화시킴 옷감의 量的, 質的 변화를 말함

③周;끝내다. 온전히 다하 좁을착다.

④今;곧,곧...하게 될 것이다. 머지않아 ....하다 등으로 해석

⑤명의;영가를 위해 만든옷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관욕을 위해 특별히 종이로 만든옷=紙衣를 가리킨다.

⑥稱맞다 알맞다. 예)稱身;몸에 맞음

⑦窄;좁을착

⑧解脫服;해탈을 목표로 하는 수행자가 입는 袈裟를 말한다.

⑨衣財;옷의 자재 혹은 材料 衣體라 고도함

⑩宣捻;宣力念之 즉 잘 생각하라는 뜻 ※宣力힘을 다함 진력함



개요


석존의 불가사의한 신통력을 의지하여 冥衣를 해탈복으로 변하게하고 내지는 영가 제위로 하여금 그 해탈복을 수용케 할 수 있음을 영가제위 및 대중에게 주지시키는 의식이다.


구성과내용


본문의식은 가지화의편의 지문에 해당하며, 구성면에서는 기,, ,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기 인 諸佛子 灌浴旣周 身心俱淨 제불자시여 관욕이 이미 원만히 끝나고 몸과 마음이 모두 청정케 되었습니다.-에서는 관욕이 원만히 이루어져 몸과 마음이 모두 청정하여 졌음을 말하였다.


이는 영가 제위가 해탈복을 입을 자격을 갖춘 것이 인정된 것이며 동시에 본의식이 이루어지게 된 당위성의 표방이기도 하다


서 인 今以如來 無上秘密之言 加持冥衣 願此日衣 爲多衣 以多衣 爲無盡之衣 令稱身形 不長不短 不窄不寬 勝前所服之衣 變成解脫之服 -이제곧 여래의 위없는 비밀교의 말씀으로 명의를 加持하옵거니와 원하옴은 ,이한벌의 홋이 많은 옷이되고 다시 이많은 옷이 다함없는 옷이되어 각자의몸에 맞아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고 좁거나 헐겁지도 않으며 이제껏 입어본 어떤 옷보다 뛰어나 해탈의 옷이 되는 것입니다. -에서는 여래의 위신력을 의지하여 冥衣가 해탈복이 되기를 발원하였고 또 그 과정을 말하였다. 특히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여래의 위신력이 可視化되었다는 점이다. 즉 冥衣가 양적 변화와 질적변화를 거치며해탈복이 되었기 때문이다. 도해하면 다음과 같다.


-多衣→ 無盡衣 → 解脫服


量的變化  ㅡㅡㅡㅡㅡㅡ↗


            質的變化


결 인 故吾佛如來 有化衣財陀羅尼 謹當宣念 때문에 부처님께서 베푸신 많은 다라니 가운데 衣財를 변하게 하는 다라니가 있사오니 삼가 마땅히 힘써 이 다라니를 염 하십시요.


에서는 여래의 위신력이 구체적으로 化衣財陀羅尼 임을 말하였고 여기에 한 가지 더 필요한 것이 영가 제위와 참석대중의 지극한 念願임을 주지시켜 化衣財陀羅尼의 염송으로 인도하고 있다.


儀式(의식)


법주는 引詣香浴篇 의 引詣香浴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요령을 한번 흔들어 놓고 합장한 뒤 제목인 加持化衣를 시작으로 본문의 내용을 高下字에 준하여 編偈聲 으로 奉行한다.


연구


★化衣財의 결과 수용케 되는 해탈복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가?


여기에 답은 釋門儀範 수계편 -126-의 受架娑時偈頌 의 내용으로

대변할수 있다고 생각되어 소개하거니와 결론부터 말하면 해탈복이란 해탈을 목표로하는 수행자가 입는 袈裟를 말한다.




善哉解脫服 장하도다 해탈복이여


無上福田衣 위없는 복밭인 옷이로다.


我今頂戴受 내이제 공경히 수용커니와


世世常得被 성불에 이르도록 입어지이다.


唵 摩訶 伽婆婆陀 悉帝 娑婆訶          -법원주림-


한편의 의복에는 와부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의복본연의 기능과 의복을 착용한 사람의 신분 및 의지를 대변하는 역할도 주어져있다.


즉 해탈복은 전통거사에 수놓아진 대법,제석 및 사천왕이 의미하듯 邪魔外道 로부터 이몸을 보호하고 , 또한 수행자로서의 신분과 해탈코자하는 의지를 나타내는 옷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