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齋對靈 沐浴偈

灌浴 Ⅱ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Ⅱ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我今以此香湯水  저희가 이제 이 향탕수로

灌浴孤魂及有情  고혼과 유정을 관욕시키오니

身心洗滌令淸淨  신심을 세척하여 청정히하고

證入眞空常樂鄕  진공인 상락향에 증입 하소서


①香湯水 : 소독 청결 辟邪=邪不犯正의 , 首숙향향목이나 향초를 넣고 끓인 물

金光明最勝王經7에는 菖蒲 首蓿(거여목숙)香 沈香.栴香 .丁子. 牛黃. 熊黃등 32종의 향약을 사용해 향탕을 만든다.고 되어있다.

②有情 : s sattva 일체 生類의 총칭 情은 心의 뜻 舊譯에서는 衆生이라 번역되던 것을 玄奘(클장)이후 新譯에서는 유정이라 함 

③眞空 :있다 없다는 상대적인 일체의 相을 떠나 思慮가 끊어져 不可得인 般若의 體를 말함 진공이라 함은 사물이 없음을 말하는것으로 이 아니고 상대적인 관념을 떠난 絶對界를 말하는것으로 妙有라고도한다. 

非有의 有인 妙有에 대해 비공의 공을 진공이라하며 이것은 大乘至極의 진공을 뜻한다. 기신론의 空眞如; 유식론의 二空眞如, 또 화엄종에서 세운 三觀 가운데 眞空管을 가리킨다.진여의실성은 중생의 미망된 소견으로 보는 일체상[現象]을 여윈 자리이므로 진공이라 한다.  

④常樂香 ;열반의세계를 말함 여기서 상락은 涅槃四德 가운데 常과 樂을 말한 것이나 이로써 열반사덕 전체를 든것이고 鄕은 우리모두가 본래 그곳에서 비롯 되었음을 말한다.


개요

본 게송은 의식 진행상에서 보면 가지조욕 말미에서 하유목욕지게 대중수언후화 라고 한 법주의 청에 대중의 이밪에서 화답하는것이며 내용상에서 보면 應頌=重頌의일종으로 가지조욕에서 의 취지를 거듭 韻文으로 표시한 것이다.

구성과 내용

칠언절구인 본 게송은 기승전결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기 인막과호칭

我今以此香湯水  저희가 이제 이 향탕수로 에서는 관욕의 제반 준비가 완료 되었음을

말하였다. 가지조욕 에서 淨三業者 無越乎澄心 潔萬物者 莫過乎淸水라 하였는바 향탕수는 澄心 이 投影된 淸水임을 찬탄한 것이다. 

승 인  

灌浴孤魂及有情  고혼과 유정을 관욕시키오니 -에서는 동참 대중이 영가제위의 관욕에 작극 참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가지조욕에서 謹嚴浴室 特備香湯 이라함은 고혼및 유정을 관욕하기위한 준비 과정이였다면 본게송에서는 곧 대중에 의해 실행에 옮겨지고 있음을 찬탄한 것이다.


진 인 

身心洗滌令淸淨  신심을 세척하여 청정히하고 에서는 관욕의 목적이 다겁생래의 업장을 소멸하고 청정무구한 본래의 진목면을 회복하려는데 있음을 말하였다. 가디조욕에서 希一濯於塵勞라 함이 곧 이것이다.

결 인

證入眞空常樂鄕  진공인 상락향에 증입 하소서 에서는 自性을 회복함에 따라 眞空가운데 누리는 涅槃樂 을 노래 하였다. 가지조욕에서의 獲萬劫之淸淨이 여기에 당한다.



바라지의 태징에 맞추어 小四物을 울리며 대중이 본게송의 제목은 창화한다. 이때 소리는 쓰는소리이다.


연구

▶작법귀감 이나 석문의범 어느쪽에도 본게송에 제목이 없는데?

본게송의 제목은 지반문 작법귀감 석문의범 어느쪽에고 명시되어 있지않다.

그러나 작법귀감 588 하단관욕규 (8)에 至沐浴偈呪時라 하였고 가지조욕 지문의내용 가운데 下有沐浴之偈 라 하여 언급되어 있는바 목욕게로 제목하였다.

▶본게송의 제목 기 구에서 말하는 향탕수는 가지조욕 의 기에서 말한 청수와 다르지 않은가?

여기서 향탕수는 청수와 대립적 개념을 지닌것이 아니다.

즉 만물을 청정케하는 청수이 개년에다 薰習을 功能으로 하는 香의 개년을 더하여 두개념의 상승효과를 기대한 것이다.137

▶목욕게는 목욕즉 身業을 정화하는데만 적용되는 게송인가?

그렇지 않다. 가지조욕편에 보이는 진언은 목욕진언 작양지진언 수구진언 세수면진언 등 모두 4종이다. 이가운데 목욕진언은 신업을 정화하는것이고 작양지진언과 수구진언은 구업을 그리고 세수면진언은 의업을 각각 정화하는진언이다.

본 게송의 제목은 목욕게 로 되어 있으나 전 구의 내용신심세척영청정에서도 알수 있듯이 제목은 모두 청정히 한다는 총체적 개념으로 붙여진것이다.


▶대령이나 관욕에서의 주인공은?

▶본게송의 승 구의 내용이 灌浴孤魂及有情인 점을 감안한다면 당일 齋의 주인공인 영가를 위시한 일체의 영가고혼 제위가 주인공임을 알 구 있다.

따라서 승 구의 내용가운데 유정 의 의미는 하단관욕규 (3)에서 어급했듯이 國魂天類. 三代家親 三界萬靈등 일체 영가고혼의 개년으로 제한받게 된다.


▶목욕게의 전거는 있는가?

목욕은 沐澡 澡浴 洗浴이라하여 이에관한 내용은 십팔화음경 권14 사십화음경 권14 수능업경 권5 온실세욕중승경 마하승지율권18 십송율권16.권41 대당서역기 4권 남해기귀내전법권3 선원청규10권등에 널리보이고 있다. 

이가운데 사십화엄경 권11에는 목욕에따른 공덕을 (1)能除風 (2)能去魑魅(도깨비이.매) (3)精氣充實 (4)增益壽命 (5)解除勞乏 (6)身體柔軟 (7)淨除垢穢 (8)長養氣力

(9)令人膽勇 (10)能去煩熱등 십종으로 말하였다.

그러나 목욕게에서와 동일한 내용의 게송은 현제로서는 발견치 못하였고 다만 팔십화엄경 권14 淨行品에 목욕에  관한 게송이 보이고 있으며 의미로보아 본 목욕게에 접근하고 있다. 소개하면 다음과같다.

洗浴身體 이몸을 씻을때

當願衆生 마땅히 발원하소

身心無垢 신심에때가없어

內外光潔 안팎이 광결하길      80화엄경 정행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