灌浴 Ⅱ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Ⅱ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諸佛子 제불자시여
祥夫 상상세히 헤아리옵건데
淨三業者 삼업을 맑히는 것으로
無越乎澄心 깨끗한 마음을 넘는것이 없고
潔萬物者 만물을 청결히 하는 것으로
莫過乎淸水 맑은 물을 지나칠것이 없습니다.
是以 하옵기를
謹嚴浴室 삼가 욕실을 장엄하고
特備香湯 특별히 향탕을 갖추은 바
希一濯於塵勞 바라옵건데 단번에 진로망상을 씻으시고
獲萬劫之淸淨 만겁의 청정을 얻으소서
下有沐浴之偈 다음에 목욕의 게송이 있사오니
大衆隨言後和 대중께오선 제 말씀에 따라 곧 창화 하시오.
註
①祥夫; 대저 자세히 헤아리건대 자세한 가운데서도 번거로움을 줄이고 요점만 말하면조
祥 자세히 헤아리다. 詳察
夫 그저 발어사 대저 [=무릇 대저로 보아서]
②乎.....에.....보다는 ≒ 于. 於 *전치사로 쓰임
③是以: 이런 때문에 그래서 連詞性介賓詞祖로서 以是가 도치된것이며 결과나 결론을 나타내고 분구나 구의 첫머리에 쓰인다. 원인을 설명한 분구나 구를 잇고, 이로써 때문에 라고 해석한다.
④隨言後和;지시에 따라 곧 (모두함께)합장하라. /隨和 소리에따라 附和함
개요
내용은 관욕의 당위성을 천명하는 것이지만 것이지만 이로써 관욕의 재반 준비가 완료 되었음과 바야흐로 실행에 옮겨지게 되었음을 알리는것이다. 즉 영가 제위가 참석 대중으로 하여금 관욕에 임함에 착오가 없도록 주위를 환기시키는 의식이다.
구성과 내용
본의식문은 加持조욕편의 지문에 해당하며 구성면에서 기,서,결의 형태를 보고 있다. 내용면에서는 이중구조를 띠고 있는데 祥夫 로 부터 獲萬劫之淸淨 까지는 영가제위와 을 주제로 하였고 夏有沐浴之偈 大衆隨言後和 에서는 영가 제위의 조욕을 동참대중에게 부탁함을 주제로 하고있다.
다음은 본의식문을 기 서 결로 나누어 본것이다.
기 인
諸佛子 제불자시여
祥夫 상상세히 헤아리옵건데
淨三業者 삼업을 맑히는 것으로
無越乎澄心 깨끗한 마음을 넘는것이 없고
潔萬物者 만물을 청결히 하는 것으로
莫過乎淸水 맑은 물을 지나칠것이 없습니다.
-에서는 관욕에서의 세척물과 세척제가 다름아닌 신,구,의등 三業과 澄心임을 분명히 하였고 다시 삼업과 징심의 관계를 만물과 청수에 견주어 관욕의 당위성을 강조 하였다.
서 인
是以 하옵기를
謹嚴浴室 삼가 욕실을 장엄하고
特備香湯 특별히 향탕을 갖추은 바
希一濯於塵勞 바라옵건데 단번에 진로망상을 씻으시고
獲萬劫之淸淨 만겁의 청정을 얻으소서
에서는 香湯 을 갖춘 所以가 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전제로 形而上의 문제를 형이하로 구체화하였으며 금일의 의식을 가해 塵勞며 안상을 씻고 만겁을지나도 결코 변치않는 자성청정심을 회복할것을 영가 제위에게 가듭 천명하였다.
결 인
下有沐浴之偈 다음에 목욕의 게송이 있사오니
大衆隨言後和 대중께오선 제 말씀에 따라 곧 창화 하시오.
-는 대중에게 부탁하는 내용으로 궁극적으로 僧寶의 가지까지 얻어 가지의 삼요소인 三寶의 가지 모두를 갖추려 함을 내용으로 하고있다.
법주는 인예향욕편의 인예향욕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요령을 한번 흔들어 놓고 합장한뒤 제목인 가지조욕 을 시작으로 본문의 내용을 高下字에 준하여 編偈聲으로 봉행한다.
연구
▶본의식의 제목을 가지조욕 이라 본항의 제목을 하였는데..........?
인예향욕편에서와 같은 이유로 본항의 제목을 가지조욕으로 한것이다.
다음에 이어지는 가지화의편의 가지화의 수의복식편의 수의복식 출욕참성편의 풀욕참성 가지예성편의 가지예성 가지향욕편의 가지향연 수위안좌편의 수위안좌 등도 이와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