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 天干地支 p87~161
년역 (混元數)
천간지지는 언제부터사용 되어 왔나?
그것은 소강절의 황극 경세인데 이책에서는 다음과같이 천간지지의 사용 기원을 밝혀 놓고 있다.
-일世는 30년이고
-일運은 이30년이 12번 모여진 것이고 ,
-일會는 이 30년이 12번 모아진 다음 다시 30번을 모은 것이고 ,
-일元은 이 30년이 12번 모아진 것을 다시 30번을 모아놓고 또 12번을 더 모은 것이 라한다.
그렇다면
-일세는 30년
-일운은 360년
-일회는 10800
-일원은 129600년이된다.
이것을 보면 지구의 변화 12진법과 달의 변화 30진법을 응용한 것을 알수있는데 ,
이렇게하여 지난 84년이 下元(음력 시월 보름날)갑자 시작이므로 天干地支가 제78원
을 돌고 4719년이 되고 이를 다시 지난 1984년 갑자년으로부터 금년 갑오년 까지
30년째 되는 것으로 아직 1세 30년에 다달았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일원 129600년을 78원으로 곱하자면 육십갑자 천간지지는 10,208,800번이
바뀌고 30번째에 있는 것이다.
이것을 우리 인류가 확실히 믿을 수는 없으나 혼원이란 용어가 우주 천지를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에 60갑자가 저멀리 태극이 양동한 시기로 보아도 이를 반대할 근거 또한 없으므로 이를 가벼히 맞다, 안맞다, 할 수 없어서 우리는 현제 이 천간지지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2.天干 地支
천간은 하늘의 기운을 나타낸다.
다음과 같다.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지지는 땅의 실상을 나타냅니다.
다음과 같다
자 축 인 묘 진 시 오 미 신 유 술 해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이를 다시 양은 양끼리 음은 음끼리 천간지지를 모아보면 육십갑자 천간지지 윤회가
양은 양끼리 음은 음끼리 만 붙어서 돌게 된다.
子 寅 辰 午 戌 子 寅 辰 午 戌 子 寅 辰 午 戌 子 寅 辰 午 戌 子 寅 辰 午 戌
위의 갑 병 무 경 임 은 양천간은 그밑의 양지지 하고만 위아래로 붙게된다. 정대로 음지지와는 접속하지 않는다.
이번에는 음천간과 음지지를 구분해보자.
丑卯巳未酉亥 丑卯巳未酉亥 丑卯巳未酉亥 丑卯巳未酉亥 丑卯巳未酉亥
이처럼 음천간은 음지지와만 붙게 되고 육십갑자를 윤회하게 됩니다.
3. 60갑자
육십갑자란 위에서처럼 + 천간은 +지지5개를 어느 것과 짝을 지어 돌고 – 친간은
-지지 5개중 어느것과 짝을지어 도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을 병열시키면 다음과 같이 60간지가 되어 갑자부터 진행한 다음 그진행이 천간지지가 골고루 섞이면서 60번째에 끝나고 다시 갑자로 시작되므로 이런 이름이 지어진 것입니다.
60세를 넘기면 환갑이라고 해서 잔치를 여는 풍속이 바로여기에 근거한 것이다.
육십갑자표
갑자 을축 | 갑술 을해 | 갑신 을유 | 갑오 을미 | 갑진 을사 | 갑인 을묘 |
병인 정묘 | 병자 정축 | 병술 정해 | 병신 정유 | 병오 정미 | 병진 정사 |
무진 기사 | 무인 기묘 | 무자 기축 | 무술 기해 | 무신 기유 | 무오 기미 |
경오 신미 | 경진 신사 | 경인 신묘 | 경자 신축 | 경술 신해 | 경신 신유 |
임신 계유 | 임오 계미 | 임진 계사 | 임인 계묘 | 임지 계축 | 임술 계해 |
천간지지는 음은 음끼리 양은 양끼리 간지가 위아래로 묶겨져 일정한 순서대로 진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가 있다.
이는 우주 만물의 생태가 일정하게 전진함을 나타내는 것이고 절대로 일정한 진행을 이탈 할 수 없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시작은 일정하고 다시 어긋나고 다시 일정한 것이 하나에서 60에 이르러 환원 되고있음을 볼 때 세상의 변화도 이처럼 60갑자의 진행방법과 일치함을 알게 됩니다.
진행의 변화에 따라 길하고 흉하고 공망하여 도태되고 일정한 수순에 따라 회복되는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60갑자 중 갑자순 갑술순 갑신순 갑오순 갑진순 갑인순 잘 살피기 바란다.
육임에서는 이순별의 구분이 매우 중요하다.
공망의 순의와 기의 등의 적용이 긴요하기 때문이다.
순의는 매순 첫 간지인 갑자 갑술 갑신 갑오 갑진 갑인의 지지를 말하고 奇儀는 갑자 갑술 순 20일 동안에는 丑이 갑신 갑오 순 20일 동안에는 子가, 갑진 갑인 순 20일 동안에는 亥가 기의가 됩니다.
사과 삼전표 및 년명상신에 이 해당 지지가 있으면 흉을 해소 시키는 힘이 있다.
四 . 음양오행
1.음양
천간지지는 우주의 생태와 같이 음양으로 구분합니다.
우선 천간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 표시한다.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 - + - + - + - + -
지지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 - + - + - + - + - + -
이것이 천간지지의 음양이다.
양이 음으로 음이 양으로 변하지 않는다. 사주명리에서는 통변을 부여할 때 아래 +표시된 자 (子)를 음으로 히고 , 아래 –표시된 亥를 양으로하고 +午 -로 -巳를 +으로하고 있으나 하고있으나 육임은 그렇지 않고 어디까지나 음양 그대로 사용한다.
2. 오행
천간 지지를 오행에 배속 시켜보자
자세히 살펴보자
천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지지 寅 卯 午 巳 辰戌 丑未 申 酉 子 亥
음양 + - + - + - + - + -
오행 木 木 火 火 土 土 金 金 水 水
갑과인은 병과오는 무와진술은 경과신은 임과자는
+목이고 +화이고 +토이고 +금이고 +수이고
을과묘는 정과사는 기와축미는 신과유는 계와해는
-목이나 -화이나 -토이나 -금이나 -수이나
임은 임은 임은 임은 임음
동일합니다 동일합니다 동일합니다 동일합니다 동일합니다
3.생극제화
오행은 우주만물의 질료로서 서로 돕기도하고 해치기도하며 빼앗기도 하며 희생하기도 하면서 그역할을 해 내고 있다.
상당히 어려운 듯 하면서도 자명한것이므로 자연의 이치를 생각하면서 공부해나가면 재미도있습니다.
우선 돕는것부터 알아보겠는데 이릉 생한다고 합니다.
이相生 법칙은 漢代 초 劉向 이 창안한 유항법칙입니다.
生은 천지의 위대한 德이라 했습니다
그러나 상생은 천지의 덕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생과 반대 개념의 극이 있고 ,
여기의에서부터 만물릐 곡절과 사람의 희노애락 이 생겨나게 된다.
가.생
+갑인 목 은
-乙卯 나무
⍊
+병오 화 를 돕습니다. 이불은
-정사 불
⍊
+무진술 토 를 돕습니다 이흙은
-기축토 흙
⍊
+경신 금 을 돕습니다 이쇠는
-신유 쇠
⍊
+임자 수 를 돕습니다 이물은 다시
-계해 물
⍊
목 을 돕습니다.
나무
이렇게 서로 생하여 좋은일을 이루는데 사주명리에서는 생하는 것도 해로운 것이 될 수 있으나 , 육임에서는 무조건 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육임학의 성숙 단계인 한 대초에 나타난 상생법칙의 영향이아닌가 하는 것으로 이해 될수있겠다.
나. 剋
해치는 기운을 알아보자
戰代 말 鄒然이 창안한 상극법칙입니다.
중국 하 은 주 3대 의 멸망을 이 상극 법칙을으로 예견 했다고 합니다.
자연계에는 돕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고 해치는 것도 있어서 그것이 전체적 조화를 이루어 인류가 세세영영 존속해 가고있습니다.
즉 적자생존하고 부적자는 도태된다고 하는 것으로서 도태는 슬픈것이나 거역할 수 없는 우주적 공명을 위한 질서이기에 어쩔수가 없게 된다 .
+갑인 목은
-을묘 나무
↓
+무 진술 토를 해칩니다.
-기 축미 흙 나무 뿌리는 흙을 뚫고 들어갑니다.
↓
+임자 수를 해칩니다. 물은 흙으로 막습니다. 물은 다시
-계해 물
↓
+병오 화을 해칩니다. 불은 물로 끕니다. 이불은 다시
-정사 불
↓
+경신 금을 해칩니다. 쇠는 불에 녹습니다. 이쇠는
-신유 쇠
↓
목을 해칩니다. 나무는 톱이나도끼 , 낫에 베입니다.
나무
이렇게 서로 극하여 나쁜 것이 되는데 사주명리에서는 극하는것도 좋은 것이 될 수 있으나 육임에서는 일간이 극을 당하면 무조건 나쁜 것이 됩니다.
다. 制泄
오행은 직접 돕고 직접 해치고 하는 역할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상대의 힘을 빼가는 역할을 하게 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주객의 입장이 다를 때의 일인데 이를테면 목이 주인이고 화가 객이라면 주인 목은 객인 화에게 기운을 목생화 로 뺏기는입장이 되고 객인화는 주인 목으로부터 기운을 빼앗기는 입장이 되는것입니다.
육임에서는 당일의 천간이 주인 , 즉 묻는 점자가되기 때문에 이주인을 위주로보기 때문에 이주인을 위주로 본 천간오행에서 객이 되는 각지지 오행을보아 생을받음음좋고 극을받음은 나쁘고 아래처럼 제설이되면 나쁜 것이 되는 것이다.
甲乙: 목은
巳午: 화 에게 기운을빼았깁니다. 다시火인 日干 丙.丁 은
辰戌丑未: 토에게 설기됩니다. 다시토인 일간 무.기는
申酉: 금에게 기운을뺏겨 설기를당한다 다시금인 일간 庚.辛은
亥子:수에게 기운을 빼앗깁니다. 다시수인일간 임계는
목에게 기운이 설기된다.
이것을 소위 制와泄이라 하는데 제란 기운을 빼앗는입장으로 상대를 제압한다는 표현이고 기운을뺏기는 일간인 천간에서는 기운을빼앗긴다는 설기라는 말을쓰는 것이다. 이를 식신 상관이라고도하고 하는데 차차 공부한다
라.生 比 財
1) 생
육임에서 주인 점자 는 당일의일간 즉당일 천간(甲乙丙丁戊己庚申壬癸중어느하나)이 되는데 일간으돕는 상대 오행지지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중의하나 또는 여러 가지) 가 생해주는 상태를 말하는것으로서 육임은 이런상태를 아주길하게보고 있다.
여기서는 사주에서처럼 正編을 가리지않고 생은 印綬라고한다
예 일간 木 水 지지 상대
주인 천간은기운이므로 지지는 물상이므로 육임에서는
래방 육임에서는일간을 지지를 □로 표시하며 이는 땅은 네모
하늘은 둥글다는 지다는 인식에서 표현됨
인식에서표현된다
너무들이 가을에는 발가벗는 것은 봄날 싹을틔우기위해서 이지않겠습니까.
갑목은 해가생이라
나무는 잎을 떨구는 10월부터 뿌리는 온힘을더해수분은 끌어모으기 시작하지요
하늘과 땅과 사람과 초록과 짐승과 미물모두가 쉴틈없이 움직이고 변화하고순환해서 법칙을만드고 현상을보이고 시작과종말을 반복하는것이고 이현상들은 곧우주의 운동인 것이다.
2) 比
육임에서 비는 또는 비화 라고 하는 것은 주인이되는 당일 의 천간과 오행기운이 동일한지지를 같다 라는 뜻으로 비라고한다.
이비는 생다음으로 좋게 본다 사주명리에서는 比劫니 일간이 신약하지 않는한 재성을 깨부신다고 하여 흉으로 치나 육임에서는 그렇지않고 점자가 되는 당일의 일간을 같은 기운으로 돕는 것이라하여 좋은 것으로 치는 것이다
예를들면
일간 火 火 지지
이런 것을 말한다.
3)財
육임에서 재란 주인이 당일의 일간에서 객인 상대 오행지지를 극하고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인데 주인이 객을 극하므로 힘으로 이기는것이기 때문에 이를 좋게 보는 것이다. 즉 점자가묻는 어떤 목적사를 이긴다는 의미이므로 그일이 된다는것이지요
또 재란 금전을뜻하기 때문에 돈에 대한 판단에는 아주귀한것이된다.
예를 들면
일간 土 ← 水 지지
주인인 당일의 천간 일간 토에서 상대가 되는 지지오행 子를 극하고 있다 이런 것을 재라하고 돈과여자를 나타낸다.
마 극. 설. 공망
1)剋
육임에서는 주인이 되는 점자가 당일의천간인 일간이 되므로 어떤경우이든 이일간이 극을받아 상해서는 안된다. 이는 흉으로 보기 때문이다. 일간이 다른지지로부터 극을받는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같다.
일간 金 → 火 지지
상대가 되고 객이되고 목적사가 되는지지 午火가 주인인 庚金 천간을 극한다. 이는 흉한 것이 되므로 잘 기억해 두어야 한다.
2) 泄 주인이되는 천간인 일간이 상대에게 자기의 오행 기운을 뺏기는 상태를 말함 이는앞서의 극을받는것처럼 나쁘게 보기 때문에 이역시 잘기억해 둘 필요가있다.
예 水 지지
계수는 인목에게 기운을 빼앗기고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경우에는 전자의일은 기운만 빠지고 이른 안되는 상황을 예견하게 된다.
나쁜 것으로 이해하라.
4.공망
청간지지는 앞서설명한대로 양간과 양지가 서로 어울려 붙어진행되어 가는것인데 이때 천간은 천기이고 지지는 물상이므로 이들은 항상 위아래있어저야만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천기가 물상위에 임해야만 그물질은 성장하고 발현되기 때문이다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만물은 기운에 의해 지배되고 이기운을 받았을 때 물상은
완성되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모양만 있고 기운이 없다면 그물건이 성숙할수 있을까요 당연히 불가능하게 된다.
공망이란 즉 물상만있고 천기가 임하지 않는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그물건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치는 이렇다.
○ 천기가 비어있으므로 운화작용이 안되고 있다.
축이라는 물상만 있다.
다시보면
甲 乙 丙 丁 戊 己 庚 申 壬 癸 ○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위를 보자면 천간은 10개이고 지지는 12개이다.
끝의2자인 술 해는 위천간이 붙어지지를 않게 된다.
왜냐하면 천간은 10갸 밖에 안되니까요
따라서 술해 지지는 천긴이 임하지않아 공망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순중 공망이라하고 그순이 바뀌어야만 술해공망이 풀리게 되지요
아래에 열거해보면
甲子順:甲 乙 丙 丁 戊 己 庚 申 壬 癸 ○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甲戌旬 甲 乙 丙 丁 戊 己 庚 申 壬 癸 ○ ○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甲申旬 甲 乙 丙 丁 戊 己 庚 申 壬 癸 ○ ○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甲午旬 甲 乙 丙 丁 戊 己 庚 申 壬 癸 ○ ○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甲辰旬 甲 乙 丙 丁 戊 己 庚 申 壬 癸 ○ ○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甲寅旬 甲 乙 丙 丁 戊 己 庚 申 壬 癸 ○ ○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이처럼 각순은 10일씩인데 지지는 12개가 되어 각순마다 천기를 잃은 지지가 반드시 2개씩있어 공망이되는 것이다. 이공망지지는 순이 바뀌어 다시 시작되는 천간이 와서 비로서 천기를 받게되므로서 공망이해소되므로 천간지지는 이로인하여 서로 엇바뀌게되고 이처럼세상만물이 무질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구조를 자세히 들여다보라 전체적으로는 일정한 변화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 생태계는 이표의 한순(一旬)은 비록 무질서하고 불공평한듯하지만 큰범위에서는 절대 공평하고 일사불란한 체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되어 있는 것이 우주자연 생태법칙인덧이다.
육임에서는 공망을 나쁘게 본다. 외견은 존제하나 내용은 부실하여 없는것이나 마찬가지로 보는 것이다.
예
일간 지지
지지 신금은 일간임수를 생하고 있으므로 좋은 것으로 보이나 이신금은 천기를잃고 있어서 물상으로서의 구실이 안되므로 임수를 도울 수 있는 처지가 아니다.
여기에 한가지 참고 할 것이 있다.
옆쪽에 나와 있는 공망 이자씩을 각순의 무기일 의 지지와 반드시 충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살펴보기 바람
戊己는 원래오행적으로 우주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對冲이 없고보면 實象的인 구실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대충을 두어 천지는 오묘한 생성과 震滅을 恒常해 갈수있게 되는 것이다.
천기란 이처럼 중요한것이므로 앞으로 이를 잘 볼 수 있어야 한다.
5. 음양오행 생극제화 육친통변표
生 인수 사업 후원 문서 +부친 –모친
比 비겁 손재 실녀 +형제 –자매
財 재성 금전 상업 여인 +처 -첩
剋 관살 작업 공작 귀신 질병 +조부 남편 +조모 정부
泄 식상 박관 실직 +자식 -여식
五. 合,冲,刑,亥,破
이번에는 천간지지가 서로 모이는 합, 흩어지는 충, 싸우는 형, 손해나는 해, 깨지는파, 에 대해서 공부하겠다.
육임은 위의 合,冲,刑,亥,破를 중요히보게되므로 이공부도 가능한 외워두는 것이 좋다.
이 합충형해파 는 일간 기궁 또는 초전 , 일지상신 또는 년명등 해당국수에 낱나는 류신과 부위 개소 오행과의 관계를 보게 되는 것이다.
현대 물리학 분자이론에 의하면 에너지합과 충돌은 공명운동을 초래한다고 한다 육임에서의 오행생극 또는 충형해파는 바로 애너지의 강렬한 공명작용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일간과 각지지들간의 이러한 취산현상은 유기적 관계또는 속성에 따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 비교적 간단한 것 같은 組合적 親 不親 관계는 자칫소홀하게 넘어가기 쉬운데 결코 단순한 단계가 아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항의 공부가 가본적이면서도 끝이라는 점이다.
많은 학도들이 이부분을 간과하고 넘아갔다가 크게 후회하고 다시 이기본으로 돌아온다 매우중요하다. 보고 또보고 읽고 또읽고 음미해서 완전 요해해 주시기를 주지해둡시다.
일괄하여 설명해보이겠습니다.
특별히 유년해둘 것은 아래 合中 설명에는 아직 공부하지 않은 天將 吉神 등의 용어가 나오겠는데 앞으로의 공부를 위해 덧붙이는 것이므로 참고해 두기바람
1,合
합에는 지합 (支合:육합) 삼합, 간합이 있는데 이것을 化라고 한다, 생극재화의 화에 해당 한다.
一.일간(日干)
여기서부터 입문 부분을 입수법「入手法」 이라한다.
육임(六壬)이란 일간을 의식의 주체로 하고, 일지를 그 대상으로 하며 현재의 시간을 그 배경 기준으로 하여, 음양오행 기운 상호간의 유기적 생극제화의 관계로 인간사의
모든 현상을 파악하려는 이론이요 실기이다.
일간은 항상 自己自身입니다.
즉 정단(正斷)을 청(請)하는 점자(占者)가 되지요
이일간은 사주명리에서 말하는 出生日의 天干이 아니라 每日每日 바뀌는 60갑자
當日의 天干을 말합니다. 오늘이 병진(丙辰)일이면 丙이 점자인 것이고 내일이
丁巳일이면 이 이 묻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日干은 하여간 타처(他處), 卽 占時, 干上 ,地上, 초전 ,중전, 말전, 년명 행년으로
부터 受剋 받거나 설기(泄氣), 또는 空亡되는 것을 凶하게 봅니다. 앞서 공부한 극설
공망을 말합니다.
반대로 生 比 財는 길하게 봅니다.
그 吉 凶 事象은 天將에 의하는 것이다.
특히
正時 : 찾아온 시간, 전화온 시간, 가서 만난 시간을 말한다.
初傳 : 發用 이고 일의 시작을 나타내며 제Ⅲ편 활용 공부에서 알 수 있겠는데
중요한 부위입니다.
干上 : 당일 일간, 즉 점자의 울타리와 같은 개소가 됩니다.
支上 : 점자의 상대 묻는 목적사 , 가정등의 매우 중요한 부위이고 육임의
大要입니다.
類神 : 정단 내용에 따라 해당 되는 대상이다
년명: 점자의 띠를 말한다.
행년: 점자의 나이에 해당하는 육임 만의 정해진 지지를 말함
생 극 비화 설기 관계를 중요히 봅니다. 굳이 중요 비중 순서로 나누면
1. 년명과 행년
2.류신
3.초전
4.일진
5.점시 이다
또 초전에서 생조를 기뻐하고 초전이 지상을 생조하는 것을 꺼리게 되지요 지상은 상대가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간은 인간사 모든 正斷의 중심이 되는 점자이고 주인인 것이다.
자신이 자기의 문제를 정단할때도 그날의 일간은 자기가 되는 것을 잊지 말아야한다.
갑자순을 에를 들어 이해를 돕기로 합니다.
길, 길신이 되는 경우
生
일간 比
財
흉 흉신이 되는 경우
剋
일간 泄
空亡
二.日干 奇宮 p159
기궁은 일간의 분신으로서 我身의 變數를 표시합니다.
일간이 기운의 성격을 가진 반면에 기궁은 물리적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단순한 생극 작용에는 크게 관련 되지 않고 충형해파와 같은 강렬한 충돌 현상에 의한 변수 작용을 우선해 봅니다.
이 변수는 간상 지상 초중말전 과 함충형해파 로 알게 되는 데 ,천간은 기 이므로 형체가 없어 반드시 매일간 마다 그날의 일간이자 주인을 대리하는 형체가 있는 기궁을 설정해놓게 되빈다. 그래야만 구체적인 인간사 변수 事象을 인식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인 것이다.
陽干은 祿支, 陰干은 祿의 1위 前支가 되는데, 그당일의 일간의 기운과 가장 가까운 형체를 나타내는 지지를 쓰게 됩니다.
따라서 이 기궁 표시는 앞으로 공부가 되겠습니다 다음 표와 같이 표시해 놓게 됩니다 익혀두는 것이 좋다.
이 기궁이 정단 목적사, 또는 해당 류신과 합충형해파 되는데에 따라 아래와 같은 특별한 변수가 발생하게 됨을 잘 살피기 바람.
사과삼전표에 명기해 둠
이상 奇宮支는 공망을 논하지 않습니다만 이를 孤鴻空 이라하여 외로운 자임을 압니다.
또 이 기궁지가 일간이 아닌 일간의 상대가 되는 일지상신이 되면 일간과의 생극 여부에 따라 다음과같은 일이 있게 됩니다. 찬찬히 들여다 보기바람
가. 培本 기궁지가 지상이되고 그상하 오행이 비화되는 것을 말하고
<즐거움을 초래하고 人은 아름답다고 봅니다.>
나. 取奪 기궁지가 지상이되고 일간을 극하는 것을 말하고
<道를 그러쳐 스스로 허물을 招來하는 兆(조짐)로 봅니다. >
다, 奪我 기궁지가 지상이되고 일간이 그지에 泄이되는 것을 말하고
<人이 와서 나의것을 훔치려는 兆 방어하면 가볍다.>
라. 求合 기궁지가 지상이되고 일지와 상하 지합 이 되는 것을 말하고
<自己 뜻을 屈하고 他人의 意에 從하게 됩니다.>
마. 資壻 기궁지가 지상이되고 日支를 剋하는 것을 말하고
<他人에게서 利益을 얻습니다.> p161
위에서의 기궁이 일지상신이 된다는 것은 아래표와같습니다.
육임에서는 일간을 주인으로 하고 일지를 상대로하는데 반드시 그날의 일간과 그날의 일지를 표시하고 그 일지 위에 어떤 천기 오행이 가해지는가에 따라, 길흉을 우선 적으로 따지기 때문에 아직 공부가 안되었지만 여기서 우선 보고 참고하도록 하시요
사과 삼전표1
초 전 중 전 말 전
발 단 문 이 역 문 귀 결 문
제1과 제2과 제3과 제4과
(본인 점자) (1과 음신) (상대. 목적물) (4과 음신)
외사문 내사문
위기궁의 법칙은 사주감정에 있어도 천간작용의 변화를 살피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정단이 가능하겠끔 학습이 될 수 있지요.p161
'육임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임백법 1445~1590 (0) | 2015.10.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