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수사

백중유래

백중의 유래(음력7월15일)

목련존자 어머니 청제부인은 살아생전에 살생을 저지르고

삼보를 비방한 죄로 지옥에서 벌을 받고 있었는데 목련존자는

어머니를 위해 살아있는 부모와 과거7대 부모를 위해 7월 보름날

밥과 여러가지 음식,과일등으로 재를 지냈고 그음식으로-시방의

대덕스님을 공양하라 그러면 모든조상들이 구원을 받고 지옥의

고통에서 벗어나리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들어 정성을 다해

여러가지 음식과 과일등을 마련해 재를 올렸습니다.이공덕으로

청제부인은 물론 함께 지옥에 있던 대중들이 모두 지옥에서

벗어나게 되었다합니다.이후 불자들은 매년 여름이되면 큰재를

마련하여 살아계시거나 돌아가신 부모와 조상들을 위하여

천도의식을 마련,이것이 우란분절(백중)의 유래입니다.

 

 백종(百種)·중원(中元)·망혼일(亡魂日)이라고도 한다.

'백중'은 이때쯤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와

100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놓은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절에서는 재(齋)를 올리고 공양을 드렸으며,

민간에서는 100가지의 과실을 차려 제사를 지내고

남녀가 모여 음식을 먹고 노래와 춤을 즐겼다.

가정에서는 한창 익은 과일을 따서 사당에 천신차례를 올리고 백중잔치를 한다.

백중을 전후로 장이 섰는데 이를 백중장(百中場)이라 했다.

머슴이 있는 집에서는

이날 하루는 일손을 쉬고

머슴에게는 휴가와 돈을 주어 백중장에 가서 하루를 즐기도록 했다.

백중장이 성시를 이루면 씨름판과 장치기 등의 놀이도 펼쳐진다.

또한 한 해 농사를 잘 지은 집의 머슴을 소나 가마에 태워

마을을 돌면서 사기를 북돋아준다.

백중 때가 되면 농사일이 거의 끝나서

농부들은 호미를 씻어두는데 이를 '호미씻이'라고 한다.

원래 백중날 하루만은 일손을 놓고 쉬지만

제주도에서는 해산물 따기에 분주하다.

그것은 백중날에 살진 해산물이 많이 잡히기 때문이다.

 

음력 7월 15일은

백중절(百中節), 백중일(白衆日), 중원일(中元日),

백종일(百種日),망혼일(亡魂日), 머슴날,

그리고 불교에서는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 하여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민족 명절로 내려오고 있다.

먼저 이렇게 많은 이름이 붙여진 연유부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백중(百中)이란 음력 7월 15일이 24절기의 중심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원(中元)이란 도가(道家)에 나오는 말로 도교에서는 천상의 선관(仙官)이

일년에 세 번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 때를 '원(元)'이라 하며,

1월 15일이 상원(上元),

7월 15일이 중원(中元),

10월 15일이 하원(下元)으로

이를 삼원이라 해서

초제(醮祭)를 지내는 세시풍속이 있다.

쉽게 말해 1년 365일 중 중간이 되는 날이라 해서 중원(中元)인 셈이다.

 

 백중(白衆)이란

대중 스님들이 한 곳에 모여 공부하는 하안거(夏安居)의 결제(結制,

4월 15일) 기간이 끝나는 해제(解制,

7월 15일)의 자자(自恣)일에 서로의 잘잘못을 이야기하고 반성한다는 뜻에서

사뢸 백(白)자에 무리 중(衆)자를 쓴 것이다.

백종(百種, 고려가요「동동」7월의 백종)이란

이 무렵이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오는 때이므로

백 가지(많다는 뜻) 씨앗을 마련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며,

백 가지 햇곡식으로 조상의 사당에 올리는 날이라는 의미,

그 외에도 불가에서는 우란분회(盂蘭盆會)를 행할 때

수많은 곡식과 과일을 공양 올린다는 의미에서 이런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백종(白踵)이라 쓰는 경우는

이 때가 농사일이 거의 끝나는 때이므로

그 동안 농사일을 하느라 더러워진 발뒤꿈치(踵)가 모처럼 하얗게(白) 된다

는 뜻에서 그렇게 불러졌다고 한다.

 

망혼일(亡魂日)이란

이 날 밤에 술과 안주, 밥, 떡, 과일 등을 차려놓고 돌아가신

부모, 조상님의 혼을 불러들여 재를 지낸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머슴날이란 7월이 되면 논밭 일이 거의 끝나고 한가하여

지주들이 마련해준 술과 음식으로

한바탕 흥겹게 즐길 수 있는 날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무엇보다도 불가에서는

우란분절이라 하여 석가모니 부처님의 성탄절, 출가절, 성도절, 열반절과 함께

불교의 5대 명절

5대 명절 : 석탄절(4/8), 출가절(2/8), 성도절(12/8), 열반절(2/15), 우란분절]

로 꼽히고 있을 만큼 중요한 날이기도 하다.

이 날이 불교의 큰 명절로 자리잡은 것은

부처님 10대 제자 중 한 사람인 목련존자가

자신의 어머니를 아귀지옥에서 구하기 위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

스님들의 하안거가 끝나는 음력 7월 15일,

자자일(自姿日)에 여러 스님들에게 공양했다는

『불설우란분경(佛說盂蘭盆經)』의 이야기에 기인한다.

우란분은 범어 '우람바나(Ulambana)'의 음역으로

'거꾸로 매달린 것을 풀어주고 바르게 세운다'는 뜻이다.

즉, '우란(盂蘭)'은 도현(倒懸) 즉, '거꾸로 매달려 있다'는 뜻이며,

'분(盆)'은 '구제한다, 여의게 한다'는 뜻으로,

재(齋)를 베풀어 지옥과 같은 악도에 떨어져 고통받는

선망부모를 구제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우란분절에는

온갖 영가들을 천도하는 천도재를 베풀게 되기에

우란분재(盂蘭盆齋)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우란분공(盂蘭盆供)이란 현재의 살아 있는 부모와

7대의 선망 부모(과거 일곱 생의 부모 영가)를 위해서

음식, 의복, 등촉, 꽃, 평상 등을 갖추어서

시방의 대덕 고승들께 공양을 올려

그 공덕으로 부모 및 조상 영가의 고통을 없애준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목련존자는 출가하기 전 대단한 부호의 외아들이었다.

그러나 갑자기 아버지 상전장자가 돌아가셔서 많은 유산을 받게 되었다.

목련은 유산을 3등분하여

일부는 어머니 청제부인의 생활비로 드리고,

일부는 돌아가신 아버님의 망령을 위해

3년간 매일 재를 지내 천도하도록 어머님께 부탁을 하고,

나머지는 목련 자신이 가지고 타국으로 장사를 하러 떠났다.

떠날 때, 목련은 어머님께 아버님의 천도재를 당부하였지만

3년만에 돌아와 보니

어머니는 천도재는 지내지 않고 살생과 음주 등으로 방탕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후에 목련이 출가한 뒤,

육신통을 얻어 혜안(慧眼)으로 돌아가신 어머니의 모습을 찾아보니

안타깝게도 어머니가 그러한 과보로 아귀지옥에 떨어져

거꾸로 매달린 채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목련이 가슴 아파하며 신통력을 발휘하여

어머니를 아귀지옥에서 구해내고자 음식을 가져가 어머니께 올렸으나

그 음식은 어머니의 입에 들어가기도 전에 뜨거운 불길로 변해 버렸다.

어머니는 생전에 지은 죄업이 너무 두터워

아라한이 된 목련존자도 어떻게 손을 써 볼 도리가 없었던 것이다.

이에 목련은 석가모니 부처님께 간청하며

어머니의 영혼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여쭈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의 어머니는 죄의 뿌리가 깊어 너 혼자의 힘으로는 구제할 수 없구나.

음력 7월 15일 하안거가 끝나는 자자(自姿)일,

곳곳에 있는 많은 스님들이 모였을 때 지극한 정성으로 공양을 올리면

불보살과 여러 스님들의 위신력으로 어머님께서는 해탈할 수 있을 것이다."

라고 하시며,

"이와 같이 성현 대중께 공양을 올리면

선망조상과 현세의 부모님, 친족 영가들이 악도에서 벗어나

즉시 해탈하여 복락을 누릴 것이다.

부모가 생존해 있는 사람은 부모의 여생이 행복하게 되고,

부모가 이미 떠났다면 좋은 국토에 태어나서 무량한 복락을 받게 될 것이다."라고 하셨다

(그 뒤에 목련존자의 어머니는 크게 뉘우쳤고 혼자만이 극락 왕생할 수 없다고 하였으며,

어머니와 목련존자가 아귀지옥에서 함께 지극 정성으로 염불 기도와 공양을 하여

모든 지옥 중생들이 함께 해탈 왕생했다는 민간의 이야기가 오늘날 폭넓게 전승되고 있다.

이는 경전에는 없는 내용인데,

모든 사람이 극락세계에 함께 가고자 하는

대승불교의 보살도로서 동입미타(同入彌陀)의 대원(大願)이 반영된 내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란분절은 목련존자의 어머님에 대한 효행(孝行)의 발로로 시작된다.

여기에서 보듯이 부처님이 가르치시는 효행이란

다만 살아 계신 부모님께 잘 하는 것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을 비롯한 선망(先亡) 조고조상(祖考祖上)과 일체중생

그리고 법계의 일체 유주무주(有住無住) 고혼(孤魂)을 천도하여

바른 길로 이끄는 것까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문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약사유리광여래 본원공덕경  (0) 2015.02.03
용왕청  (0) 2014.07.29
결계진언의 의미  (0) 2014.06.26
절만  (0) 2014.06.16
불교기  (0) 201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