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황섬.황여식, 황진, 황섬.황언중

qndns 2020. 3. 1. 21:32

사헌부 대사헌 정익공 황섬

1544년 중종39년 갑진년 ~1616년 광해군 팔년병진년 조선문신 자는경명 호는 식암 본관은 창원 고려대상석주의 후손이요 동지돈녕부사 응규의 아들로서 한성 이현에서 출생하였는데 어려서 부터 영달숙성하고 성질이 온후양직 하며 내강외화 하였다. 8세때부터 약포 정탁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1564년 면종19년 갑자년에 성균관유생이되고 1570년 선조3년 경오년에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한성부 참군이되었고 1573년 선조6년 계유년에 황해도 도사를거쳐 1577년 선조10년 정축년에 서천군수가 되고 1581년 선조16년 계미년에 사간원 정언 이되고 1583선조16년 계미년에 사간원 사간을 거쳐 사헌부집의 가되었다.

1588년 선조21년 무자년에 승정원 좌승지를 거쳐서 승정원도승지 에올랐다. 그이듬해에 성주목사 로 좌천되었다가 1591년 선조24년 신묘년에 병조참의가되고 1592년 선조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가 송도를 거쳐 평양으로 몽진하게되자 호종하여 모운사가 되어 군량수송에 공을세우고 이해9월에 첨지중추부사가 되고 이어 호조,예조, 병조참의를 거처 1596년 선조29년 병신년 정월에 성균관 대사성이되고 이해 8월에 안동부사가 되었다.

1603년에 선조36년에 홍문관부제학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이되고 1606년 선조39년 4월에 사간원 대사간이되고 이해10월 승정원 도승지 를거쳐 12월에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올랐으며 1607년 선조40년 정미년 정월에 사헌부 대사헌이되고 6월에 예조참판이되었다. 1608년 선조41년 무신년에 선조가 승하하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대북파인 정인홍, 이이첨등의 탄핵을받고 영의정 유영경이 경흥에 유배되었다가 곧 사가되니 유영경의 처남인 공은 이에 연좌되어 삭직당하고 장남유중과함께 고향에 돌아와 학문에 정진하다가 1616념광해군18년 병진년에 서거하였다.

1623년 인조원년에 자헌대부 이조판서겸 지경영 의금부사 춘추관사 성균관사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에 추증 되었고 1708년 숙종34년 무자년에 풍이 우곡서원에 제향한다.

저서 식암집

문헌: 선조실록 한국인명대사전 창원황씨족보.            

 

兵曹參議

조선 시대에, 병조에 속한 정삼품 벼슬. 정원은 1명이며, 병조 참판과 병조 판서를 보좌하면서도 병조 판서와 대등한 발언권을 가지고 있었다.

 

병조 참지 兵曹參知

조선 시대에, 병조에 속한 정삼품 벼슬. 정원은 1명이며, 병조 참의와 품계는 같지만 참의의 다음 자리이다. 주로 추고속과 유청군액속의 수납과 지출을 관장하였다.



첨정 공 황여식

1544년 중종39년 갑진년 ~1592년 선조25년 임진년

조건문신 호는 유고 본관은 창원 고려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화산부원군 석기의후원이요 석근의 증손이다. 일찌기 벼슬에 나아가 천정이 이르렀다. 1592년 선조25년 임진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평양에 파천하게 되자 임금을 호종하였으나 평양성이 함락될위기에 이러자 용약적진에 뛰어들어가 정신분전하여 많은 적을 도륙부회하였으나 세궁역진하여 전사하였다.

시신을 찾을길 없어 초혼장을 하였다. 그후 공훈록권이 하사되었다.

문헌 창원황씨족보


예조판서 효정공 황진

조선문신 호는 서담 본관은 창원 의원군거정의 후손이다. 1574년 선조7년 갑술년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후 1592년 선조25년 임진년에 왜란이 일어나자 임근의특사로 의주부에 파견되었는데 이해6월에 선조가 평양을 거처 의주에 파천하게되자 공의관저에 임금이 드어 있었다. 

벼슬은 호조,예조판서 를 거쳐 판돈녕에 이러렀다. 시호는 효정이다

문헌 한국고사대전 


승정원도승지공 황섬

1550년 명종5년 경술년 ~1622년 광해군14년 임술년 조선무신 본관은 창원 의원군거정의 6대손이오 감찰세경의 아들이다. 1582년 선조15년 임오년에 생원이되고 1588년 선조21년 무자년에 무과에 을과에 급제하여 충의위 부사정이되고 1592년선조25년 임진년에 왜구가 침입하자 부체찰사 김응남을 배종하였고 1595년 선조28년 을미년 을미년에 충의위 사정이되고 1598년선조31년 무술년에 오위 부사과가되고 1600년 선조33년 경자년에 오위사과가되고 1603년 선조36년 계묘년에 충추부도사가되고1605년 선조38년 을사년에 충의위부사직이되고 1608년 선조41년에 세자익위사우익위가 되고 1610년 광해군2년에 중추부 경역이되고 1613년 광해군 5년에 훈련원 도정이되고 1615년 광해군7년에 군기사정이 되고 1617년 광해군9년 정사년에 성균관 대사성 이되고 1618년 광해군 10년무오년에 승정원 좌승지가 되고 1620년 광해군12년경신년에 승정원도승지 가 되었으며 1621년 광해군 13년 신유년에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에 돌아왔다.

문헌 창원황씨족보 


밀양도호부사송 황언중

1550년 명종5년 경술년~1590년 선조23년 경인년 조선무신 자는 사미 본관 창원 의원군거정의 7대손이오 현감 구의 아들이다.

1575년 선조8년 을해년 진사가 되고 1577년 선조10년 정축년에 무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충무위 사정이되고 1582년 선조15년 임오년에 훈련원판관 이되고 이듬해에 충의위사직이되고 1585년 선조18년을유년 경상도 병마첨절제사가 되고 1587년 선조20년정해년에 합천군수가되고 1589년 선조22년 기축년에 밀양도호부사가 되었다.

문헌 창원황씨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