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조목종

황림 황응규 황대수 황집중 황계조 황공 황응신 황치성 황섬 황여식 황진 황섬

qndns 2020. 3. 1. 13:02

吏曹判書 평장공 황림

1517년 중종11년 정축년~1597년 선조30년

조선문신 자는 여온 호:겸재,본관창원 의원군 거정의6세손이요. 內資寺副正 순경의 아들, 어려서 부너 재질이 출중하고 학문을 좋아하였다.

1542년 중종37년 임인년에진사가 되고 그이듬해에 式年문과에 乙科로 及第하여 承文院著作이되고 1545년 인종원년 을사년 에 春秋館 記事官을 거처 敦寧府 主簿가되고 1550년 명종5년 경술년 兵曹正郞이되고 1553년 명종8년 계축년에 咸安郡守가 되고 1556년 명종11년 병진년에 報恩郡守가되고  1558년명종13년 무오년에 蔚山都護府使가 되고 1560년 명종15년에 忠州都護府使가되고 1562년 명종17년 임술년에 敦寧副正이 되었다.

1584년 명종19년 6월에 父親喪을 당하여 관직을 사임하고 삼년여묘로 終喪한후 1567년 명종22년에 兵曹參知가 되고 1570년 선조 삼년 경오년에 吏曹參議가되고 이듬해 9월에 母親喪을당하여 官職을 다시사임하고 三年喪을마친후 1574년 선조7년 무술년에 刑曹參議가되고 1576년 선조9년 병자년에 平安道 觀察使가되고 1578년 선조11년 무인년에 吏曹參判이되고 1581년 선조14년 신사년에 承政院 都承旨兼 世子侍講院 左副賓客이되고 그이듬해에 兵曹參判兼 經筵同知事가 되고 1589년 선조22년에 吏曹判書겸 知經筵事世子侍講院 左賓客으로서 宗系辨誣奏請使가 되어 윤근수등 19인과 함께 명나라에 다녀와서 三等功臣이되고 의창군에 봉해졌다. 

1591년 선조24년 신묘년 기로원에 입사하였고 1597년 선조30년 정유년에 서거 하였다.

문헌 창원황씨족보


同知敦寧副使 송간공 황응규.

1518년 중종13년 무인년 ~1598년 선조31년 무술년 조선 문신 자는중문 호는 송간 공촌 본관은 창원 右贊成士 우의 아들이요 大司憲 섬의 아들이다.

愼齋 周世鵬. 退溪 李滉의 文人으로 초서를 잘썼으며 1543년 중종38년 계묘년에 司馬試에 合格하여 成均館에 입학하고 여러번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후 成均館의 薦擧로 典翰司 別提를 거쳐 長興庫 直長을 지냈고 1569년 선조 2년 기사년에 공이 52세가되어 謁聖文科 丙科로 급제한후 여러벼슬을 역임하였다.

1588년 선조21년 무자년에 고향에 돌아와 隱居하고 있다가 1592년 선조 25년 임진년에 倭亂이 일어나자 많은 糧穀을 軍糧으로 바친공으로 折衝將軍이되고 1594년 선조27년 갑오년에 同知敦寧事가 되고 鄕兵大將에 추대되어 장정과 군량등을 많이 모집하여 왜적토벌의 出戰準備를 하다가 병으로 서거하였다.

吏曹判書에 追贈되었다.

저서 송간고

문헌 선조실록, 한국인명대사전 창원황씨족보


형조정랑 민익공 황대수

1534년 중종29년 갑오년 ~1572년 선조4년 신미년 조선문인 자는 사경 본관은 창원 고려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회산부원군 석기의7세손 이오 造紙署 別提 원의 아들이며 추포 신의 아버지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출중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하루에 수백어를 講誦하게 되어 큼에 이르러 학업이 大成하였다. 1555년 명종10년 을묘년에 司馬試에 합격하고 명종19년 갑자년에 甲子別試에 을과로 급제하여 承文院權知正子가 되었다가 成均館 典籍을 거쳐 공,형,戶曹佐郞 을 역임한후 刑曹正郞이 되었다.

1571년 선조4년 신미년에 嶺南지방에 凶年이들어 이재민이 많이 발생하여 공이 敬差官이되어 罹災民 救恤에 힘쓰다가 임무수행중 星州客舍에서 逝去하였다. 

문헌 창원황씨족보 한국고사대전.


畵家 卑牧堂선생 황집중

1533년 중종28년 계사년 ~서거연도 미상 조선 화가 자는시망 호는영곡 비목당 본관은 창원 郡守 인의 아들이다.

1576년 선조9년 병자년에 進士試에 合格하였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공은 당대에 뛰어난 화가로서 특히 葡萄를 잘그렸다. 당시 李霆의 대나무와 魚夢龍의 梅花와함께 三絶로 일컬어졌다.

작품으로 포도도 가 있는데 현재 德壽宮 美術館 에 所藏 되어 있다.

문집 동국문헌화가편 한국인명대사전 창원황씨족보. 


方山鎭 水軍僉節制使공 황계조

출생년도 미상~1592년 선조25년 임지년 조선 무신 본관은 창원 의원군 거정의 현손이요. 參判 長孫의 아들이다.

1558년 명종13년 무오년에 武科에 을과에 급제하여 충무위 司猛이 되고1560년 명종15년 경신년에 忠佐衛 副司正이되고 1566년 명종21년 병인년에 江原道 兵馬節度使가 되고 1569년 선조2년 을사년에 義興衛 司果가 되고 1571년 선조4년 신미년에 오위都摠府 都事가 되고 1577년 선조10년 정축년에 忠武衛 司直이되고 1580년 선조13년 경진년에 全羅道 兵馬僉節制使가 되고 1584년 선조17년 갑신년에 忠佐危副護軍을 거처 龍陽衛 護軍이되고 1588년 선조 21년 무자년에 方山鎭 水軍僉節制使가 되었다.


義興衛장 설강공 黃珙

1537년 중종32년 정유년 ~1591년 선조24년 신묘년 조선 무신 자는 경윤 호는 설강 본관은 창원 의원군 거정의 후손이요 판서 문경의 아들이다.

1567년 선조22년 정묘는에 武科 을과에 급제하여 忠贊衛 副司猛이되고 1569년 선조2년 을사년에 五衛司猛이되고 1571년 선조4년 신미년에 五衛副司正 이되고 1574년 선조7년 선조7년 감술년에 龍驤衛 司正이 되고 1575년 선조10년 정축년에 平安道 兵馬節度使 가 되고 1579년 선조12년 기묘년에 오위都摠府 都事가 되고 1582년 선조15년 임오년에 忠좌위에 사직이 되고 이듬해에 全羅道 兵馬僉節制使 가 되고 1585년 선조18년 을유는에 慶尙道 水軍僉節制使 가되고 1587년 선조20년 정해년 에 訓練院 都正이 되고 1590년 선조23년 경인년에 義興衛將이 되었다.

문헌 창원황씨 족보 


五衛 上護軍 공 황응신

1538년 중종33년 무술년 ~1591년 선조24년 신묘년 조선 무신 본관 창원 의원군 거정의 6대손이오 정랑 세진의 아들이다.

1564년 명종19년 갑자년에 生員이되고 1567년 명종22년 정유년 무과 을과로 급제하여 五衛司正이되고 1570년 선조3년 경오년에 訓練院 主簿가되고 1573년 선조6년계유년에 世子翊衛司 左翊贊이되고 1577년 선조십년 정축년에 忠義衛 司直이 되고 1582년 선조15년 임오년에 五衛都摠府 經歷이되고 1584년 선조17년 갑신년 五衛副護軍 이되고 1590년 선조23년 경인년에 五衛 上護軍이되었다.

문헌 창원황씨족보. 


承政院左承旨 경재공 황치성

1543년 중종 38년계미년 ~1623년 인조 원년 계해년

조선문신 자는 이실 호는경재 본관, 창원 거려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회산부원군석기의 후손, 參奉 대용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총명하고 학업에 근면하였다.

일찌기 進士試에 합격한후 1580년 선조13년 경진년에 謁聖文科에 甲科로 장원한후 벼슬이 三司를 거처 承政院 左承旨로서 經筵參贊官 春秋館事, 弘文館副提學 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문헌 한국고사대전 창원황씨족보


사헌부대사헌 정익공 황섬

1544년 중종 39년 갑진년~ 1616년 광해군 8년 병진년 조선 문신 자는 경명 오는 시간표 공간은 창원 고려 대상 석주의 후손 이요 동지 돈녕부 사 은교의 아들로서 환승이 현에서 출생 하였는데 어려서부터 영달 숙성하고 성질이 온후 양직 하며  4강 왜 하 하였다  8세때 부터 약포 정탁의 문하에서 수업 하였다.

 1564년 명종 19년 갑자년에  성균관 유생이 되고 1570년 선조 3년  경오년에  식년문과 괄호 급제하여 한성부 참 군인이 되고 1573년 선조 6년 된  계유년에  황해도도 사과를 거쳐  1577년 선조 10년 정축년에 서천군 수가 되고  1581년 선조 14년 신사년에  사간원 정은이 되고 1583년 선조 16년 개미 년에 사간원 사간 거쳐 사헌부  집의가 되었다.

 1588년 선조 21년 무자년에 승정원 좌승지를 거쳐 성적만 도승지에 올랐다.  그 이듬해에 청주 목사로 좌천되었다가 1591년 선조 24년 신묘년에 병조참의가 되고 1592년 선조 25년 임진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가 송도를 거쳐 평양으로 몽진 하게 되자 호종하여 모 운사가 되어 군량 수송에 공을 세우고 9월에 첨지중추부사가 되고 이어 호조 예조 병조참의를 거쳐 1596년 선조 29년 병신년 정월에 성균관대사성이 되고 이에 8월 안동 부사가 되었다 

 1603년 선조 36년  계묘년에 홍문관 부제학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참관이 대구 1606년 선조 39년  병오년에  사월의 사간원 대사간이 되고 10월 청정원 도승지를 거쳐 12월에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올랐으며,  1607년 선조 40년 정미년 정월에 사헌부 대사헌이 되고 6월에 예조참판이 되었다.

 1608년 선조 41년 무신년에  선조가 승하하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대북 파인 정인홍 이이첨 등의 탄핵을 받고 영의정 유연경이  경영에 유배되었다가 곧 사사 되니 유연경의 처남인 공원 연좌되어 착취당하고 장남 유종과 함께 고향에 돌아와 학문에 정진하다가 1616년 광해군 18년 병진년에  서거하였다.

 1623년 인조 1년 개년에  인조가 즉위하자 공의 관작을  추복하고  호위일등공신에  작은 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 의금부사 춘추관사 성균관사홍문관 대제학을 예문관 대제학에  추증 되었고 1708년 숙종 34년 무자년에 풍기 우곡 서원에 재향 한다.

 저서  식 암 집 

 문헌: 선조실록 광해군일기 한국 인명대사전  창원황씨 족보


 참전 공  황 여식

 1544년 중종 39년 갑진년~ 1592년 선조 25년 임진년

 조선 문신   호는 유고  본관은 창원 고려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회산 부원군   석기의 후손 이요  석건의 즈증손이다.

일찍이 벼슬에 나아가   첨정에 이르렀다.  1592년 선조 25년 임진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가 평양으로 파 천하게 되자 임금을 호종하여 쓰나 평양성이   함락될 위기의 이루자 용약 적진에 뛰어들어가 정신 분전 하여 많은 적을 도륙부획 하였으나  세궁력진 하여 전사하였진.

 시신을 찾을 길이 없어 저건 장을 하였다.  그 후 공훈 록궝이 하사 되었다.

  문헌:창원 황씨 족보


 예조판서 효정공  황진

 조선 문신  호는 서담  본관은 창원   의원군  거정의 후손이다.

 1574년 선조 7년 무술년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1592년 선조 25년 임진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임금에 특사로의 주부에 파견 되었는데 이해 6월 선조가 평양을 거쳐 의주의 과천 하게되자 공의 관저에 임금이 들어 있었다. 

30 보여 줘, 예조판서를 거쳐 판돈영에 이르렀다.

 시호는 효정이 다

 문헌: 한국 고사 대전


 승정원 도승지공  황 섬

 1550년 명종 5년 경술년~ 1622년 광해군 14년   임술년

 조선 무신 본관은 창원 의원군 거정의 6대손 이요 감찰 세경의 아들이다.

 1582년 선조 15년 임오년에 생원이 되고 1588년 선조 21년 무자년에무과에 급제하여 충의 사명이 되고 1592년 선조 24년 신묘년에 충의 부사 정이 되고 1592년 선조 25년 임진년 예 외국 아침이 파장 부채 철사 김흥남을 배 총 하였고 1,500 95년 선조 28년 을미년에  충의위 사정이 계곡 1598년 선조 31년에  무술년에  오이 부사과가  되고  1600년 천조 33년 경자년에  오이 사과가  되고  1603년 선조 36년 계묘년에  중추부 도사가 되고 1605년 선조 38년 을사년에  충의 부서지기 되고 1608년 선조 41년 무신년 세자익위사 우익위 되고 

 1610년 광해군 인연 경술년에   중추부 경력이되고 1613년 광해군 5년 계축년에 훈련 원도 정이되고  1615년 광해군 7년 을묘년에   군기사정이되고  1617년 광해군 9년  정사년에  성균관대 사성이되고 1620년 광해군 12년 경신년에  청정원 도승지가 되었으며  1621년 광해군 13년 신유년에  관직을 사임하는 고향에 돌아왔다.

 문헌: 창원 황씨 족보


 밀양 도호부사공  황언중 1550년 명종 5년 경술년~ 1592년 선조 23년 경인년

 조선 무신 자는 사람이 본관은 창원 의원군 거정의 7대손 이요.  현감 구의 아들이다.

 1575년 선조 8년 을해년에  신사가 되고  1577년 선조 10년 정축년의 무과에 급제하여 충무 위 사정이되고  1582년 선조 25년 임오년에  훈련원 판관이 되고 이듬해에 충의위 사직이 되고 1585년 선조 18년 을유년에 경상도  병마 첨절제사가 되고  1587년 선종 20년 정해년에 합천군 수가 되고 1589년 천조 22년 기축년에  밀양 도호부 사과 되었다.

 문헌 창원 황씨 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