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조목종

창원 황씨편 황순경 황효공

qndns 2020. 2. 29. 20:32

內資寺副正 공 黃舜卿

1494년 성종25년 갑인년~1564년 명종19년 갑자년

조선문인 자는희중 본관창원 의원군거정의 5세손이며 豊儲倉守 浚源의 아들이다.

1525년중종20년 을유년에 蔭仕로 典牲署奉事가되고 1528년 중종 23년에 司圃署別檢이되고 1530년 중종25경인년에 長興庫 直長이되고 1532년 중종28년계사년에 內侍府尙훼가 되고 1536년 중종31년 병신년에  內資寺 主簿가되고 1538년 중종33년 무술년에 全義縣監이되고 1542년 중종35년 경자년에 陽城縣監이되고 1542년 중종37년에 盈德縣令이되고 1544년 중종39년 갑진년에 咸陽郡守가되고 1546년 명종원년 병오년 永平郡守가되고 이듬해 議政府舍人이되고 1550년 명종5년 경술년에 禮賓寺提檢이 되었는데 1552년년 명종7년 임자년에 부친상을당하여 사임하였다가 1555년명종10년 을유년에 司憲府掌令이되고 그이듬해 內資寺副正이되었다.

문헌 창원황씨족보


예조참판공 황장손

조선무신 본관 창원 의원군 거정의 증손이오 漢城府尹 효공의 손자이며 軍資監副正 약윤의 아들이다. 어려서 부터 용모가 端雅하고 재주가 出衆하며 성격이 개결하였다.

1518년 중종13년 무인년에 式年武科 第六經에 급제하여 玉堂翰林이 되었다. 그후 平安 兵使를 역임하고 禮曹參判겸 同知義禁府事 五衛都摠府 都摠管으로 있다가 사임하고 고향에 돌아와 후진육영에 여생을보냈다.

문헌 창원황씨족보

 

司諫院 司諫공 황효공

1496년 연산군2년 병진년 ~ 1553년 명종8년 게축년 조선문신 자는경보 호는귀암 본관은 창원 고려 문하시랑 동주서문하평장사 회산부원군 석기의후손이오. 군자감 판관진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자질이 법상치아니하여 보는사람마다 기이하게 여겼다.

1521년 중종 16년 신사년 別試문과에 급제한후 그이듬해에 承文院 副正字 承文院博士 成均館典籍 을거쳐 刑曹,戶曹佐郞 겸 承文院校檢이 되었으며 1529년 중종24년기축년 봄에 禮曹佐郞 春秋館 記事官이 되었다가 다시 黃海道 都事로 나갔다.

이듬해 겨울에 戶曹正郞겸 承文院 校理가 되고 1531년 중종26년 신묘년 가을에 司憲府持平이 되어서 冬至使의 書狀官 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그 이듬에 여름에 錦山郡守가 되었다. 1533년 중종28년 계사년 겨울에 刑曹正郞 

이되고 이듬해봄에 漢城府庶尹이 되었다가 곧 司憲府持平 宗簿司 僉正兼春秋館 編修官이되고 그해 오월에 司憲府掌令 이되었다가 그해 가을에 成均館詞藝가되고 11월에 司諫院司諫이 되었으나 1535년 중종 삼십년 을미년 겨울에 左議政으로 있는 폭신 金安老가 자기말을 듣지않는다고 誣告로 辭職당하였다.

1537년 중종 32년 정유년에 金安老가 文定王后의 廢妃를 도모하다가 실각되다자 조정에서 공을다시 復官하라고누차 불렀으나 身病을 이유로 벼슬에 나가지않고 榮州郡 이현리에 은퇴하여 정사를 축조하고 학문에 힘썼으며 退溪李滉과 교의가 두터웠다. 공은 특히 易學에 정진하여 유명한 天文學의 십이도를 이루었다. 영주의 泗溪精舍에 祭享한다.

문헌 창원황씨족보 한국인명대사전




共助參判  월포공 황기

 1498년 연산군 4년 무술년~ 1539년 중종 34년 기해년    조선 문신 자는 중은  호는  월포  본관은 창원 고려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회산 부원군 석기 육대손 2호 공조판서 형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출중하고 용모가 단정하였다.

 1524년 중종 19년 갑신년의 別時文科에 丙科로 及第하여 承政院 正字選이  되어 藝文館을 거쳐 成均館 典籍이 되고 곧 禮曹 佐郞이 되었다가 이듬 해 이 吏曹 佐郞이 되었다가 1533년 중종28년 계사년에 弘文館 校理가 되고 다시 司諫院獻納 司憲府持平 議政府舍人 이되고 1535년 중종30년 을미년에 弘文館典翰 司憲府執義 世子侍講院 輔德이되고 이듬해에 弘文館 直提學이되고 이어서 承政院 同副承旨에 올랏다.

1537년 중종32년 정유년에 司諫院 大司諫 이 되었으나 공은 성질이 강직하여 권세에 아부하지 않으므로 권신 金安老 일당의미움을받아 吉州牧使로 左遷되었다. 이해에 孝惠公主를 며느리로 맞이한 金安老가 벼슬이 左議政에 오르게되자. 권력을 더욱남용하여 暴政을 自行하며 王族과 公卿이라도 자기 말을 따르지 않으면 逐出 有配 殺害등을 마음대로하면서 文定王后의 廢位를 도모하려하다가 중종의 밀령을 받은 梁淵, 尹安任등에의하여 逮捕되어 流配되었다가 賜死되고 그일당이 沒落되자 공이 곧 承政院 右副承旨가 되었다가 이어 承政院 左部承旨, 承政院 都承旨, 功曹參判등을 역임 하였으며 1539년 중종34년 기해년에 京畿道 觀察使가 되어 善政을 베풀어 도민들의 稱誦이 자자하였다.

문헌: 중종실록, 조선인물고. 창원황씨족보, 한국인명대사전


吏曹判書 퇴은공 황문경

1512년 중종7년 임신년~1573년 선조6년 계유년 조선 문신 자는 유장 호는 퇴은 본관 창원 의원군 거정의 5세손이며 吏曹判書 현원의 5세손이다.

1540년 중동 35년 경자년에 式年科에 乙科로 及第하였다. 禮賓寺奉事가 되었다가 1542년 중종37년에 모친상을당하여 사임하고 집에 돌아와 상례를 지성으로 마쳤다. 1544년 중종39년 갑진년에 濟用監 直長 이되고 1546년 명종원년 병오년에 부친상을 당하여 사임하였다가 1549년 멸종4년 기유년에 繕工監 主簿가되고 그이듬해에 軍器寺 別提를 거쳐 軍器監判官이되고 1554년 명종9년갑인년에 奉常司僉正이되고 1556년 명종11년 병진년에 韓山郡守가되고 1558년 명종13년 무오년에 楊州牧使가되고 1560년 명종15년 경신년에 江原道 觀察使가 되었다. 

1562년 명종17년 임술년에 平安道 觀察使가 되고 그이듬해에 漢城府 佐尹을 거쳐 1565년 명종20년 을축년에 吏曹判書兼 漢城判尹 이되었다.

공은 주자 性理學과 易學연구에 深奧하였다. 무위당 박대립과는 교의가 깊어서 일찌기 박대립이 형조좌랑으로 있을때 적체된 송사건 抗辯終結시에 협조하여 名判決을하게 한 일이 있었다. 

1569년에 사퇴하고 집에돌아와 독서와 후진교도에 힘썼다. 시호는 문의다.

문헌;창원황씨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