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조목종

창원 성균관 대사성 안악공 황의헌 한성부윤공 황효공

qndns 2020. 2. 29. 08:28

성균관 대사성 안악공 황의헌

出生年度 未詳~1454년 단종2년 갑술년 조선 문신 본관은 창원 고려 門下侍郞 同中書門下平章事 회산부원군 석기의 증손이요 參判 동용의 아들이다.

蔭補로 敦寧府 錄事가 되었다가 1442년 세종24년 임술년 親試文科에 을과로 급제 하여 副校理 1444년 세종26년갑자년에 吏曹正郞을 거쳐 弘文館 副校理 가되고 1450년 세종32년 경오년 에 集賢殿 學士 藝文館 應敎 를 거쳐 宗寺簿判官이되고 이듬해에 文宗이 즉위하자 承政院 左承旨를 거쳐 弘文館 副提學에오르고 1452년 문종2년 임신년에 文宗이 승하하고 端宗이 즉위하자 成均館 大司成을거처 兵曹參知가 되었다.

1453년 端宗元年 계유년에 知安岳郡思기 되어 그 이듬해 狩獵을 빙자하고 義兵974명을 모아 安平大君 용과 모의하여 首陽大君의 不義를 討伐하려다가 癸酉靖亂으로 뜻을 이루지못하고 安平大君과 함께 逆謀에 몰리어 斬刑을 당하였다. 아들 석동도 이때 연좌되었다.

단종 추복시에 영월 창절시에 입향되고 영종조에 이르러 장릉침문외별단에 배향하였다.

문헌:단종실록. 한국인명대사전 창원황씨족보


漢城府尹公 黃孝恭

조선 문신 본관은 창원 의원군 거정의 아들이다.

1420년 세종2년 경자년에 司馬試에 급제하여 禮賓寺 參奉이되고 1423년 세종5년계묘년에 證廣問과에 갑과에 급제하여 例問과 待敎 를 거쳐 弘文館博士가되고 1425년 세종7년 을사년 에 義禁府都事가 되고 그 이듬해 敦寧府判官이되고 1429년세종11년기유년에 兵曹正郞이되고 1431년 세종13년신해년에 儀賓府 經歷이되고 1433년 세종15년 계축년에 經筵侍講官이되고 1435년 세종7년 을묘년에 司憲府掌令이되었다.

1437년 세종19년 정사년에 司諫院 司諫이되고 그이듬해에 兵曹參議가 되고 1441년 세종19년 정사년에 司諫院司諫이되고 그이듬해에 兵曹參議가되고 1441년 세종23년신유년에 全羅道 兵馬節度使가되고 1445년 세종27년에 兵曹參判겸 同知義禁府事가되고 1450년 세종32년경오년에 한성부윤이 되었으나 1455년 세조원년 을해년에 世祖가 임금이되자 政局이 혼란하여 짐으로 官職을 사퇴하고 집에 돌아와 性理學 연구에 힘쓰다가 1464년 세조10년 갑신년에 忠淸道 결설화산 현 忠淸道 洪城郡 龜項으로 이사하여 후진을 교도 하다가 逝去하였다.

문헌 창원황씨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