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계(十界)의 구성개념(構成槪念) 설명
•십계(十界)의 구성개념(構成槪念) 설명.
⑴불계 佛界 | 세존 | 모든 사람으로부터 존경받는 사람 | ||
불 | 지덕이 원만한 사람 | |||
천인사 | 제천과 인간의 스승으로, 완벽하게 지도할 수 있는 사람 | |||
조어장부 | 일체의 중생을 조복제어해서 불도를 성취시키는 역용을 갖추고 있는 사람 | |||
무상사 | 최상의 사람 | |||
세간해 | 만상의 인과의 이법을 다 깨달은 사람 | |||
선서 | 무량의 지혜를 갖추어 번뇌를 다 끊어버리고 佛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 | |||
명행족 | 知와 行이 완전한 사람 | |||
정변지 | 정등각(正等覺).일체의 知를 갖추어 만법을 명백히 이해한 사람 | |||
응공 | 人·天의 공양 받기에 족한 덕이 있는 사람 | |||
여래 | 삼라만상의 본원을 알아 인과법에 바탕을 두고 진실한 영원의 생명관을 터득한 사람 | |||
⑵보살계
菩薩界 | 문수보살 | 法身의 體로 지혜를 상징하고, 나머지는 경의 덕을 대표함. | ||
관세음보살 | 자비 | |||
대세지보살 | 덕용 | |||
상정진보살 | 불퇴전 | |||
불휴식보살 | 악업을 부지런히 닦는 것이고 | |||
보장보살 | 손 안에 법보를 지니고 있는 것이고 | |||
약왕보살 | 근기 따라 약을 베풀고 | |||
용시보살 | 일체를 능히 베푸는 것이며 | |||
보월보살 | 깨달은 몸이 밝고 깨끗한 것이고 | |||
월광보살 | 치암(痴暗)을 없애는 것이고 | |||
만월보살 | 보월·월광의 덕을 만족하게 갖춘 것이고 | |||
대력보살 | 대법을 짊어진 것이고 | |||
무량력보살 | 경계를 떠나 동요하지 않는 것이고 | |||
월삼계보살 | 몸과 뜻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고 | |||
발타바라보살 | 바른 견해를 잘 보호하는 것이고 | |||
미륵보살 | 자비로서 불법을 계승하는 것이고 | |||
보적보살 | 능히 모으고 날카로운 것이고 | |||
도사보살 | 사람들을 인도하여 바른 길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 |||
⑶연각계 緣覺界 | 독각 | 부처님이 세상에 계시지 않을 때는 독각불이 출현하심. 혼자 깨달은 사람. | ||
⑷성문계 聲聞界
| 아라한과 | 무학성자. 공부가 완성되어 성인의 축에 든 아라한의 지위 | ||
아나함과 | 번뇌가 없어져 욕계에는 다시 나지 않고 색계·무색계가 남은 지위 | |||
사다함과 | 인간과 천상에 한 번 왕래하면서 생을 받아야하는 지위 | |||
수다원과 | 처음 성인의 축에 들어간 지위 | |||
⑸
천 계
天 界 | 무색계 4 천 | 비상비비상천 | 표상(表象)이 있는 것도 표상이 없는 것도 아닌 삼매의 경지 | |
무소유처천 |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관하는 무소유의 解를 증득하는 선정 | |||
식무변처천 | 식을 무변(無邊)이라고 관하는 선정 | |||
공무변처천 | 물질적존재가 절대無인 공간의 무한성에 대한 삼매의 경지 | |||
제 4 천의
9 천 | 색구경천 | 이 위에는 물질적 영역이 없으므로 | ||
선현천 | 선정의 덕이 나타나기 쉬으므로 | |||
선견천 | 보는 행위가 청절(淸澈-맑으므로)하므로 | |||
무열천 | 열뇌(熱惱-괴로움)를 떠났으므로 | |||
무변천 | 이욕(離欲-욕을 끊음)의 성자가 번뇌의 때를 씻으므로 | |||
무상천 | 이 하늘에 태어나면 모든 생각이 없으므로 | |||
광과천 | 범부가 얻은 과보중 최우수한 자가 태어나는 것 | |||
복생천 | 뛰어난 복의 공덕을 지은 범부(凡夫)가 태어나는 곳 | |||
무운천 | 이天이하에서는 천신들이 구름이 밀집한 것 같이 밀치며 웅성대는 일이 없으므로 | |||
3천 의 3천 | 변정천 | 右의 淨이 멀리 미치므로 | ||
무량청정 | 右의 淨이 증대하여 그 양을 측량하기 어려워 | |||
소정천 | 정신적 쾌락감을 즐거움으로 수용하여 정(淨)이라하나 이 영역중에 가장 적음으로 | |||
2천 의 3천 | 광음천 | 청정한 빛이 널리 이 영역을 비추므로 | ||
무량광천 | 광명이 뛰어나 측량할 수 없으므로 | |||
소광천 | 광명이 가장 적으므로 | |||
초선천 3천 | 대범천 | 위대한 범천 | ||
범보천 | 대범천 前에 행렬(行列)하여 시위하는 신들 | |||
범중천 | 대범천에 속하는 많은 신들 | |||
六 欲 天 | 욕계천의
6 천 | 타화자재천 | 다른하늘이 화작(化作)한 욕경(浴境)을 자재로 수용하여 즐거움을 받는다. | |
화락천 | 자기의 대경(對境)을 변화하여 오락(娛樂)의 경계로 삼음 | |||
도솔천 | 묘족(妙足)을 만족시킨다는 의미.장래 부처가 될 보살의 주거지. | |||
야마천 | 시기(時分)를 알아야 오욕(五欲)의 즐거움을 받는다. | |||
도리천 | 수미산 꼭대기 중앙에 제석천이 있고, 4방에 8대천왕이 있기 때문에 33천이 된다. | |||
사천왕 | 동-지국천,서-증장천,남-광목천,북-다문천을 수호하는 불법수호 신. | |||
⑹인간계 人間界 | 북구로주 | 수미산 북쪽의 인간세계. 4주중 국토가 最勝하므로 勝處라 함. 多樂하여 佛이 不出 | ||
남섬부주 | 수미산 남쪽에 위치한 인간세계. 우리가 사는 세계 | |||
서우화주 | 수미산 서쪽의 인간세계. 소를 화폐로 사용하므로 牛貨라함. | |||
동승신주 | 수미산 동쪽의 인간세계. 신체가 勝하므로 勝身이라함. | |||
⑺수라계 修羅界 | 비천(非天) | 해와 달, 제천과 전쟁을 하는 투쟁의 신.질투심이 강한 생존의 세계 (非天-과보가 승(勝)함이 천과 같으나, 하늘은 아니라는 뜻) | ||
⑻축생계 畜生界 | 驅使畜養 - 쫒고 쫒기며, 핍박받고 길러진다. | 하늘(空) | ||
바다, 담수, 하천(水) | ||||
육지(陸) | ||||
⑼아귀계 餓鬼界 | 鬼界-죽은자의 세계 | 항상 굶고 허(虛)하므로 아(餓)라 하고 공겁(恐怯)하여 두려움이 많으므로 鬼라한다 | ||
⑽ 지 옥 계
地 獄 界 | 셋 | 고독지옥 | 산간이나 광야 나무아래나 공중에 있음 | |
지옥둘 | 시방유중지 옥 | 팔대지옥에 부수되어 있는 16개 부수지옥. 이 지옥은 4개의 측면에서 각각 4개의 증(增)이 있어 16이다. | ||
근변지옥 | 이 세계 밖에 있다고 함. | |||
지옥
하나 | 근본지옥 | 무간,회하,비시,도산,화차,화산,아비,화탕,한빙,발설,철상,박피,동주,도작,철마,로탄,철개,저주,양동,소재지옥 | ||
팔한지옥 | 팔한팔열을 8대지옥이라 함. 마하발특마,발특마,온발라,호호파,학학파,알석타,니랄부타,알부타지옥. | |||
팔열지옥 | 8대지옥. 무간,극열,염열,대규환,호규,중합,흑승,등활지옥. |
(2).수미세계(須彌世界)는 십계(十界)의 위계가 있다.
⑴불법계(佛法界) -자각(自覺)과 각타(覺他)의 각행(覺行)이 공만(共滿)한 경계
⑵보살법계(菩薩法界) -무상보리(無上菩提)를 위하여 육도만행(六度萬行)을 닦는 境界.
⑶연각법계(緣覺法界) -열반에 들기 위하여 십이인연관(十二因緣觀)을 닦는 境界.
⑷성문법계(聲聞法界) -涅槃에 들기 위하여 부처님의 성교(聲敎)에 의해 사제관법(四諦灌法)을 닦는 경계.
⑸천법계(天法界) -상품(上品)의 십선(十善)과 선정(禪定)을 겸수(兼修)하여 천계(天界)에 태어나서 정묘(靜妙)한 락(樂)을 받는 境界.
⑹인법계(人法界) -오계(五戒)와 중품(中品)의 십선(十善)을 닦아서 인간의 고락(苦樂)을 받는 境界.
⑺아수라법계(阿修羅法界) -하품(下品)의 십선(十善)을 행하고 통력(通力)의 자재함을 얻는 비인(非人)의 境界).
⑻귀법계(鬼法界) -하품(下品) 오역(五逆) · 십악(十惡)을 범(犯)하고 기갈(飢渴)의 고(苦)를 받는 악귀신(惡鬼神)의境界.
⑼축생계(畜生界) -중품(中品)의 오역(五逆) · 십악(十惡)을 범(犯)하여 먹고 먹히는 살육(殺戮)의 고(苦)를 받는 축생류(畜生類)의 境界.
⑽지옥법계(地獄法界) -상품(上品)의 오역(五逆) · 십악(十惡)을 범(犯)하여 한(寒) · 열(熱) · 규환(叫喚)의 苦를 받는 최하(最下)의 境界.
이렇듯 감보(感報)의 계(界) 분(分)을 열가지로 나눠서 십법계(十法界)라고 한 것인데, 이것이 경(經) · 논(論)에는 분명히 말한 것이 없고, 천태대사(天台大師)가 경론의 뜻에 의거하여 세운 것으로 일체 유정계(有情界)를 해수(該收)한 일종의
[출처] 십계(十界)의 구성개념 설명 [동일스님]|작성자 생꿀전문 대표 이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