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불 평등한가
지금까지 쌓아온 행위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똑같을 수 없다.
어떤 이유로 인해서 사람들은 평등하지 않습니까?
즉 어떤 사람은 단명하고 어떤 사람은 장수하며, 자주 앓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건강한 사람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밉상인데 어떤 사람은 귀염성이 있으며, 힘이 약한 사람도 있고 힘이 센 사람도 있습니다.
한 쪽에서는 가난한데 다른 쪽에서는 부자가 되고, 어리석은 자가 있는가하면 어진 사람도 있습니다.
“왕이여, 어째서 과일들은 그 맛이 똑같지 않을까요? 어떤 것은 시고 어떤 것은 쓰며, 어떤 것은 떫고 어떤 것은 단맛이 납니다.”
“존자여, 그것들은 각기 다른 종자에서 나오기 때문일 것입니다.”
“왕이여 그렇습니다 사람들도 지금까지 쌓아온 행위(宿業)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똑 같을 수 없습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살아 있는 것들은 저마다 자기 業”을 가지고 있고 그것을 이어 받으며,그 업을 모태로 하고그 업에 의존한다. 업이 생존을 비천한 것으로 혹은 존귀한 것으로 차별 짖는다. <밀린다 왕문경>
*인간이면 그 누구를 막론하고 평등하게 살아가는 것이 인류의 이상인데 현실사회에서는 그렇지 않고 온갖 불평등이 존재한다. 그에 대한 문답이 한때 북 인도에 파견된 희랍의 밀린다왕과 수행승 나가세나 존자 사이에 벌어진 것
업의 본성에 대한 이와 비슷한 문답이 (화엄경)에도 나온다.
중생은 흙(地)과 불(火)과 공기(風)등 네 가지 요소로 되어 그 안에는 自我의 실체가 없고, 모든 존재의 본성은 선한것도 아니고 악한 것도 아닙니다. 그런데 어째서 중생은 苦 와 樂을 받기도하고 선하고 악을 짓을 하게 됩니까?
또 어째서 잘생긴 사람도 있고 못생긴 사라도 있을까요?
“그가 지은 업에 따라 과보를 받을 것이지만 그행위의 실체는 없다. 마치 맑은 거울에 비친 그림자가 여러 가지 이듯이 업의 본성도 그와 같다. 지옥의 고통이 따로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듯이 업의 본성도 그와 같다.”
<화엄경 보살 명잡품>
이 세상에는 산과 강과 골짜기와 평지에서 자라는 초목과 숲과 양초의 종류가 많지만 각기 그 이름과 모양이 다르다.
비가 내리면 모든 초목과 숲과 약초들이 뿌리와 줄기와 가지와 잎이 두루 젖는다.
같은 구름에서 내리는 비지만 그 초목 종류와 성질에 따라 저마다 달리 자라며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같은 땅에서 나고 같은 비에 젖지만 여러 가지 초목이 각기 다르다. <법화경 >
바라보니 산에는 빛이 있고
귀 기울이면 소리 없이 흐르는 물
봄은 가도 꽃은 남고
사람이 와도 새는 놀라지 않드라.
冶父 (산에는 빛이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