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중게
庭中偈 삼보께자리 하신 법 도량에 도착함을 찬탄한 게송
灌浴 Ⅱ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Ⅱ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一步曾不動 한설음도 일찍이 때지 체
來向水雲間 허공사이로 막바로 오시니
旣到阿練若 어느세 아련야에 이러렀습닏다.
人室禮金仙 자! 안으로 드시어 금선께 예를 올리십시요.
註
①내향;전방으로부터 이쪽으로 향해 옴
②水雲間:장물이 없는 횅하니 뚫린 공간
③阿練若;s aranya 음 阿蘭若 阿蘭拏 의 遠離處 寂靜處 空閑處 意樂處 無諍處 비구가 수행하는데 적당한 마을에서 떨어진 조용한 장소
④入室; 開室이라고도함 師長의 거실에 들어가 친히 法門을 받아 잇는 것
이외에도 본게송에서
본항이 속해 있는 출욕참성편 의 목적은 영가제위로 하여금 정단에 나아가 삼보이신자존께 예를올리고 일승인 묘법을 듣게 함이있다.
이런목적으로 비로소 이루어지려는 순간에 있음을 찬탄한것이 정중게 이다.
이외에도 본게송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공간이동에 있어서 공간이 초월되고 있다는
점과 이와같은 일련의 불사가 가능할 수 있는것은 理的인 면에서 이지만 法身偈
에서 확인하였듯 영가 제위가 청정심을 회복했기 때문이다,
구성과 내용
오언절구의 본게송은 기,승,전,결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기인
一步曾不動 한설음도 일찍이 때지 체-에서는 출욕참성편에서 거행돠어 온 지금까지의 의식은 물론 관욕 全般에 걸친 의식의 내용이 전면 부정 되고 있다.
왜냐하면 출욕참성 지단진언 법신게 산화락 대성인로왕보살 순으로 이어진 각 항의
의식 내용은 모두 시간과 공간위에서 이루어진 의식이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본항
기 구의 내용에서는 한걸음도 일찍이 때지 않았다.라 하였는바 이는 앞서 진행된 일련의 의식내용과 상반되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항에서의 표현은 理的인 것으로 事的인 면에서 진행되어온 지금까지의
의식을 부정하는것은 아니다.
즉 같은 事案 일지라도 이적인 입장과 사적인 입장은 이와
이역시 이적인 면을 배제하고는 이해될수 없는 내용이다.
普觀偈
一念普觀無量劫 無去無來亦無住 如是了知三世事 超諸方便成十力
승 인
來向水雲間 허공사이로 막바로 오시니 -에서는 기 구에서의 내용이 이적이었던 점을 감안, 사적이고 시각적인 면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자칫아무진전이 없는 듯이 생각할수있는 오해를 방지하고 있다. 즉 證道歌에서 노래한 一超直入如來地 의 도리를 보인 부분이기도 하다.
전 인
旣到阿練若 어느세 아련야에 이러렀습닏다. -에서는 일차 목적지인 阿練若에 도착
했음과 지금이자리가 무었을 위해 마련된것인가를 영가 제위에게 주지시키고 있다.
즉 아련야 수행에 알맞는 장소를 가리키는 것인바. 다시한번 영가제위로 하여금 이적인 면만이 아니고 사적면에서도 자신의 청정심을 회복함이 목적임을 확인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결 인
人室禮金仙 자! 안으로 드시어 금선께 예를 올리십시요. -에서는 二次 목적지인 정단에 나아가 삼보께 예를 올릴것을 권하고있다. 시련의 보례삼보 연구에서 살폈듯이 예를 갖춤이 지니는 궁극적인 의미는 能禮로서 의도한바가 원만히 성취되었음과 예를 주고받는 능례와 소례 사이에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는 의미로 파악할수있다. 또 입실은 자고로 스승과제자가 법을 전해주고 전해받기 위해 마주앉음을 의미하는것이므로 法身偈에서 노래했듯 영가제위는 이로서 청정심의 회복에 접근하고 있음을 인정받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후 고하자에 따라 着語聲 으로
나무인로왕보살에 의해 본당에 이르러 三匝후 月臺에 자리하여 태징을 몰아친다.
이어서 법주는 요령을 세 번 울린 후 고하자에 따라 着語聲 으로 봉행한다.
이때 재목은 읽지 않는다.
연구
▶
기인
一步曾不動 이라하여 굳이 이적인 내용일 필요가 있는가?
본게송의 發端인 기 구의 내용이 이적인데서 - 사적으로 장차 긴 수행이 필요하기 때문- 영가제위의 청정심이 회복되고 있음을 였볼 수 있는 자격을 논한다면 청정심의
회복외에는 없기 때문이다.
▶송 구의
來向水雲間을 거향수운간이라 하면 안될까?
來와 去어느쪽으로 표현해도 정단애 도착함을 표현하는데는 큰 차이가 없다고 하겠다.
다만 정단에 도착하였음을 확인 할수있는것이 누구인가를 생각한다면 다시 말해 우리 모두의 마음의 고향에 자리하고 계신 우리 모두의 부모님이 누구이신가를 생각한다면 來向으로 표현함이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바람,깃발 그리거 마음
6祖 盧行者 는 5조 弘忍大師의 가르침대로 남으로 남으로 내려가 四會縣 산속에서 16년간 은둔한뒤 廣州의 法性寺에 이르게 되었다.
그때 슬려들이 마침 기가 움직이는가 바람이 움직이는가 로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 노행자는 이것을 보고 기가 움직이는것도 바람이 움직이는것도 아니요. 오직 그대들의 마음이 움직일뿐이다 고 갈파했다.
이광경을 지켜보고 있던 주지 印宗法師는 범상한 인물이 아님을 판단하고 곧 청하여 涅槃經要抄(베낄초)강의를 들었는바 玄玄密密 한 설법에 감복했다.
그리고 6조가 아직 속인인 것을보고는 삭발해주었으며 법명을 비로소 惠能이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