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嚼楊枝眞言

qndns 2017. 1. 21. 10:58

嚼楊枝眞言  구업을 청정히 하는 진언     142


灌浴 Ⅱ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Ⅱ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唵 縳阿羅賀 莎訶 

印 左手大母指 捻(비틀염)無名指下節 作金剛拳

인 왼손 엄지손가락으로무명지 아래 마디를 누른 상태에서 주먹을 쥔다.

이때의 주먹을 금강권이라한다.


①嚼楊枝;양지를 씹는것 , 오늘날 이를 닦음에 해당

楊枝; 비구 18물의 하나로 이를 닦는데 사용하는 버드나무 가지. 예전에는 버드나무가지를 잘라 길이 4지 .8지. 12지 .16지 등으로 굵기는 새끼손가락 정도로하고 한쪽은 굵게 그리고 다른한쪽은 가늘게 하여 굵은 쪽 끝 을 씹어 거기서 나오는 汁으로 이를 닦고 가는쪽으로 치아에 낀 불순물을 제거했다고한다. 지금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쑤시게는 곧 양지의 한 형태 이며, 요지 는 양지의 일본식 발음이다. 四分律

佛報恩經 五分戒本 三千威儀經 등에 보인다.

②金剛拳; 인계의 한령태로 4종 혹은 6종 권인의하나 엄지손가락능 손바닥네 넣고 나머지 네손가락으로 싸쥔 모양

금강계 대일여래의 오른손의 인 理智二德 중에는 지혜가 금강처럼 견고함을 표한 것이므로 이렇게 이름했다.


개요 다음에 거행되는 수구진언과 함께 口業을 청정케하는 진언이다. 단.수구진언이 양치 후 물로 입안을 청결히 본진언은 이와 입안을 닦는 치솔에 해당한다.

구성

목욕진언과 동일

의식

법주가 거행한다. 요령을 한번 흔들어 놓고 제목을 창화 한 후 요령을 울리며 지언을 세번 읊는다. 이때 증명을 맡은 법사는 준비된 證明壇에 자리하여 結手法=手印法에 의거 결수하여 법주와함께 삼밀을 행한다.


硏究

작양지진언에 대한 전거는?

진언에 관한 전거라기 보다는 작양지에 관한 내용이 목욕에서와 같이 팔십화엄경 권14淨行품 에 보인다.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양지를 들고                           2. 양지를 씹으며    

   手執楊枝 양지를 집어 듦에         作楊枝時 양지를 씹음에도

   當願衆生 마땅히 발원하소          當願衆生 마땅히 발원하소

   皆得妙法 모두가 묘법얻어          其心調淨 마음을 조정하여

   究竟淸淨 청정을 이루기를          噬(씹을서)諸煩惱 번뇌를 씹을것을

                                                                  -팔십화엄경-

▶작양지진언을 확인 할수있는 곳은?

결수문 지반문 등에 보이고 있으며 작법귀감 과 석문의범의 내용과 비교하면 표기의 

차이 외에는 대동소이 하다.

 작양지 진언

결수문; 唵 拔茲囉賀 莎訶      [玆囉;二合]

           옴 바으라하 사바하


志磐文; 唵 拔(꺾을 절,천천히 할 제)囉賀 莎訶  ←한 제1집 607상

作法龜鑑 ; 唵 拔茲囉賀 莎訶      [玆囉;二合]

釋門儀範 ; 唵

명주 견,흴 전羅賀 莎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