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沐浴眞言

qndns 2017. 1. 20. 09:30

沐浴眞言 신업을 청정히 하는 진언



灌浴 Ⅱ Ⅰ引詣香浴篇 引詣香浴 淨路眞言 入室偈  Ⅱ加持澡浴篇 加持澡浴 沐浴偈

沐浴眞言 嚼楊枝眞言 漱口眞言 洗手面眞言 Ⅲ加持化衣篇 加持化衣  化衣財眞言

Ⅳ授衣復飾篇  授衣復飾 授衣眞言 着衣眞言 整衣眞言 Ⅴ出浴叅聖篇 出浴叅聖 指壇眞言

法身偈 散華落 南無大聖引路王菩薩 庭中偈 開門偈 Ⅵ加持禮聖篇 加持禮聖 普禮偈

普禮三寶眞言 普禮三寶 Ⅶ加持向筵篇 加持向筵 法性偈 掛錢偈 Ⅷ受位安坐偈

受位安坐偈 受位安坐眞言 茶偈  


唵 바다모 사니사 아모거 阿隸 훔

증명법사의 결수 삼밀가운데 신밀을 나타내는 것으로 역시 관욕의 원만성취를 돕는 의식이다. 밀교의 의식이 원용된 것.

印 兩手無名指  內相叉入掌右押左 竪(더벅머리수)二中指頭 

   相柱二頭指 捻(비틍념)中指背上 二大指 捻中指中節

   (양수무명지  내상차입장우압좌 견이중지두 

   상주 이두지 념중지배상 이대지 염중지중절)

인 양손무명지 넷째 손가락 와 새끼손가락 을 안으로 깍지껴서 손바닥속에 넣되 오른손이 왼손을 누른다. 두장가락 셋쩨손가락 은 펴서 끝을 맞대고 양쪽 둘째손가락 으로는 장가락의 등을 누른다. 두 엄지손가락으로는 장가락 가운데 마디를 누른다.


개요

관욕에 있어서 가장중요한 부분 [high-light]이 여기부터 이다. 즉 관욕의 목적은 신구의 삼언을 청정케 하기위함인데 목욕진언에 의해 비로서 실행에 옮겨지게 되기때문이다. 목욕진언은 身口意 三業 가운데 身業인 殺生 偸盜 淫行 등의 業을 淸淨히 하는 眞言이다.


구성과 내용

진언의 제목과 진언으로 되어 있다.

법주가 거행한다. 요령을 한번 흔들어 놓고 제목을 한번 창화한 후, 여타의 진언에서 와 달리 쓰는소리 로 바라지의 태징에 맞쳐 대중이 동음으로 창화 한다. 진언후에는 곧바로 관욕쇠로 이어진다. 이때 증명을 맡은 법사는 준비된 證明壇에 자리하여 手印法에 의거 結手를 하며 법주와 함께 三密을 행한다.


연구

▶목욕진언 은 한가지 뿐인가?

목욕진언이 수록되어 있는곳은 대표적으로 結手文 地磐文 仔기文 작법귀감 석문의범

등을 꼽을 수 있다. 한편 진언의 내용을 아래 소개된 바와같이 지반문 과 자기문 의 내용은 전혀 같지 않다.                              


沐浴眞言

結手文 ; 唵 鉢頭暮 瑟尼灑 荷暮伽 惹隸吽  瑟尼;二合

志磐文 : 唵 地沙地沙 僧伽 莎(향부자사)訶    [진]

仔기文 ; 曩謨 三滿多 沒駄喃 唵 誐誐那 三摩三莫 莎訶 

作法龜鑑 ; 唵 鉢頭暮 瑟尼灑 荷暮伽 惹隸吽                 瑟=瑟+尼

석문의범 ; 唵 婆多謨 娑尼沙 阿謨怯 阿隸 吽  옴ㅡㅇ+ㅗ+ㅁ/작법귀감의경우 이하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