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간
2 遁干
육임에는 천간을 크게 보지않는다 초전 둔간은 많은 참고가된다. 특히 구재사 합의사 정단에 크게 쓰여 지는데 우선 둔간 요령을 다시 살피도록 한다. 갑자일은 갑자순에 있고 공망은 술해가 된다.
공망 끝자 다음 지지에 무조건 갑을 붙이는 것이고 공망 끝자 해의 다음 지지인 자에 갑을 붙혀 나가면 각 지지마다 천간이 부여된다.
위 갑자일 진이 유월장의 예를 다음 표를 본다
둔간 기 경 신 임 계 ㅇ ㅇ 갑 을 병 정 무
천반 사 오 미 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지반 자 축 인 묘 사 오 미 술 해 자 축
제3과 제1과 제4과 제2과
앞서 조상한 4과와 대조하면 둔간에 대한 의문이 해소 될 것이다.
둔간은 천반지지에 대한 숨은 작용을 한다 예: 천반지지가 재성이고 둔간은 관살이면 금전사에 관한 관재가 야기된다.
4과 조상후 과체 길흉 감평
조식 조상된 사과를 어떻게 판단하고 감평하나
우선 갑자일 진시라는 것으로 래정을 알자면 갑일 진시는 財 가 되니 , 온의중은 구재 상업 여인 문제에 있고 4과중 3개소에서 지반 下가 천반 상을 극하니 아랫사람의 벅해가 있게 생겼음을알 수 있다.
또일간상신 미는 일지 자와 일지상신 사와 기궁인 인과는 서로 교차 육해를 이루어 피차간 서로 의심하는 문재가있음을 알 수 있다 금전 역시 일간상신에
미가있고 귀가 승했으나 이돈이 육해에 해당하므로 존장은 점자를 미워하여
뜻대로 응해 주지않고 있으며 특히 일지상신 사화에 태음이 타서 일간갑의 기운을 빼앗고 있으니 가정사와 여자문제로 고심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날 이시간에 온점자는 돈과 여자문제로 진퇴양난에 빠져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
그것은 지금부터 공부항 극적법에 의해 삼전을 구성해 보아야만 판단할수있게 됩니다 달리 구종법 이라고도 한다.